국제신용평가회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1년만에 한국 신용등급을 상향 조정했다. 그러나 침체된 코스피를 끌어올리기엔 힘이 부족해 보인다. 국내 증시를 재평가하는 기회가 될 순 있지만 미국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등 대외 변수의 영향력이 더욱 강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S&P는 전일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기존 A+(긍정적)에서 AA-(안정적)로 1단계 상향 조정했다. 지난해 9월 이후 1년만에 상향 조정했으며 중국과 같은 수준이고 일본(AA-·부정적)보다는 높아졌다. 한국은 앞으로 3~5년간 다른 선진국 대비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하면서 2018년까지 1인당 GDP가 3만달러를 넘을 것이란 전망이 반영됐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같은 긍정적인 해석에도 불구하고 국내 증시를 부양하기엔 한계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 한국 증시가 다른 신흥국에 비해 건전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 계기가 될 순 있지만 미국 FOMC 등 큰 경제 이벤트를 앞둔 상황에서 효과가 상쇄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의 금리인상 시점과 경기부양책을 지속할지를 놓고 시장에 경계심리가 팽배하다.
김정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대외 불확실성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신용등급 상향이 국내 증시에 호재임은 분명하다”면서도 “미국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할 FOMC 회의와 중국 경기 둔화 우려 등 대외 변수가 강력해 영향력은 미미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신용등급 조정은 경기가 회복된 이후 ‘후행적‘으로 평가하는 성격이 강해 증시에 힘을 실어주기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국가를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사후 판단하는 만큼 단기적으로 움직이는 주식시장과는 성격이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김용구 삼성증권 연구원은 “과거 국가 신용등급 상향조정에 따른 주식시장의 단기적인 영향은 대체로 불분명했다”며 “신용등급 조정을 단기성 호재로 인식하는 시각은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S&P의 이번 결정이 최근 한달간 4조4100억원을 순매도한 외국인을 멈추게 할 수 있을 지도 미지수다. 단기적으로는 외국인의 ‘U턴’을 기대할 만하지만 추세가 이어질 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것.
김경욱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과거 신용등급 상향 조정 이후 외국인 순매수는 시기별로 다른 모습을 보였다”며 “추세적으론 매수세를 이어갔던 경
배성영 현대증권 연구원은 “외국인의 관망심리가 여전히 우세하기 때문에 투자 흐름이 갑작스럽게 변화될 가능성은 낮다”면서도 “매도 규모가 경험적 임계치에 다다르고 있어 지켜볼 필요는 있다”고 말했다.
[매경닷컴 이가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