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정부 아파트 화재 등 잇딴 대형 참사에도 안전 불감증이 여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미희 교수(원광대 소방행정학)가 대원리서치에 의뢰해 조사한 ‘공동주택 화재 대피시설의 중요성과 국민의식 조사’에 따르면 아파트에 사는 서울 시민 절반(49.4%)이 “현재 아파트에서 불이 날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했다. 화재 위험성을 의식하면서도 정작 대피 시설에 대해서는 제대로 알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피시설에 대해서는 32.4%이 ‘있는지 모른다’고 응답해 화재 불감증이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대피시설이 아예 없다’고 답한 비중도 29.8%에 달했다.
이번 조사는 3층 이상 아파트에 사는 서울 시민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 ±4.38%포인트) 했다.
업계에서는 신축 아파트 최소 80%가 대피시설이 미흡한 것으로 보고 있다. 현행 건축법에는 아파트는화재에 대비해 지상이나 피난층까지 통하는 2곳 이상 직통 계단을 설치하도록 돼 있다. 하지만 건축법에는 또 2개 이상 직통 계단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 세대별 대피 공간을 설치하는 예외 규정이 포함됐다. 전문가들은 고층 아파트 증가 추세에 비춰봤을 때 예외 규정이 안전 사각지대를 키우는 근거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안전설비 업체인 비투텍의 이봉운 대표는 “건설업계에서 비용 문제 등을 이유로 임시 대피공간을 설치하고 있다”며 “2013년 이후 건설된 신축 아파트 80% 이상이 직통 계단 대신 세대별 대피공간을
[김정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