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락맞을 확률보다 낮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인생역전'을 꿈꾸며 복권을 사는 분들 많을텐데요.
그런데 당첨되고도 찾아가지 않는 돈은 얼마나 되고 또 그 돈은 누가 어떻게 관리하고 있을까요?
천문학적 규모의 미지급금과 허술한 복권기금 관리의 실상을 강태화 기자가 집중취재했습니다.
인터뷰 : 양영석/서울 청량2동
-"다들 살기가 어려우니까 혹시나 하는 마음에 한방을 노리고 하는거죠."
인터뷰 : 최지은/서울 용두동
-"가방에 넣어뒀다가 잊어버리는 수도 있고, 나중에 찾아가도 기간이 지나서 못받기도 하고..."
지난 3년간 이렇게 복권에 당첨되고도 찾아가지 않은 돈은 무려 천7백48억6천만원에 달합니다.
심지어 1등에 당첨 되고도 돈을 찾지 않은 사람도 13명, 당첨금만 367억원입니다.
하지만 지급 기간이 지났다면 수십억원짜리 복권은 휴지조각에 불과합니다.
3개월이던 지급기간이 짧다는 지적에 따라 기간을 6개월로 연장했지만 미지급금은 여전히 줄어들지 않고 있습니다.
미지급금은 복권수입금으로 전환됩니다.
인터뷰☎ : 복권위원회 관계자
-"국민들이 찾아가도록 홍보하는 수밖에 없다. 법에 명시한다거나 기간을 늘리는 것은 법 개정의 문제다. 엉뚱한데 쓰지 않도록 점검을 계속 한다."
과연 그럴까?
정부는 지난 2004년 복권발행기관을 복권위원회로 단일화했습니다.
위원회는 문화예술진흥기금의 부담금 제도가 폐지되자 자금 공백을 복권 수익금으로 채웠습니다.
하지만 문예기금은 문화관광부의 예산사업으로, 전년도에 운용 계획을 제출해 국회를 거쳐야 합니다.
결국 아랫돌을 빼 윗돌을 메우는, 한마디로 주먹구구식 집행이란 얘기입니다.
더구나 이렇게 집행된 돈은 정작 문화 소외층이 아닌 도시의 젊은층에게만 집중적으로 지원됐습니다.
최근에는 신정아 씨에게도 거금이 부당지원됐다는 사실이 알려지기도 했습니다.
인터뷰 : 신학용/국회의원
-"복권기금이 눈먼 돈이라는 인식을 가져서는 안된다. 정부는 기금 운용에 더욱 엄격한 잣대를 적용해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
문제는 또 있습니다.
현재 1기 로또 사업자 국민은행 등에 대한 과도한 수수료 책정으로 수천억원대의 소송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1심에서 패소한 정부는 최종심에서도 패할 것에 대비해 복지 사업비 2천450억원을 줄였습니다
정부의 잘못을 서민들에게 전가한 셈입니다.
강태화/기자
-"로또 2기 사업은 오는 12월부터 시작됩니다. '대박의 꿈'과 사행성 논란, 특혜 의혹 등을 모두 잠식시키고 공익기금 마련이라는 복권사업 본연의 목적을 회복하게 될지 주목됩니다. mbn뉴스 강태화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