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외국 자본에 대한 '대항마'로 육성하기 위해 도입한 사모투자펀드(PEF) 제도가 과거 10년간 외형적인 면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였다는 분석이 나왔다.
11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국내 PEF 시장 현황과 발전방향 : 10년의 회고'라는 주제로 열린 콘퍼런스에 참석한 관계자들은 이같이 입을 모았다. 이들은 특히 PEF가 부실 기업 인수를 통해 국내 기업 구조조정 파트너로서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는 데 의견을 함께했다. 다만 PEF가 질적인 면에서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업계 스스로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자본시장연구원과 PEF운용사협의회가 PEF 도입 10주년을 기념해 공동 주최한 이번 행사에는 주요 PEF 대표들, 금융당국 등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해 의견을 나눴다.
국내 PEF 시장 규모는 2004년 12월 제도를 도입한 이후 꾸준히 성장하며 등록 PEF가 출범 당시 2곳에서 지난해 말 316개로 증가했다. 특히 총출자약정액도 58조원에 육박하며 대형 시장으로 자리매김했다. 연기금 공제회 등 기관투자가들의 대체투자 수요 확대와 인수·합병(M&A) 시장에서 주요 플레이어로서의 역할이 커지면서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박용린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장은 "2005~2014년 투자된 300개 기업을 분석한 결과 국내 PEF는 그동안 성장형(그로스) 투자에 주력하면서 피투자기업의 성장과 고용 창출 측면에서 상당한 성과를 이뤘다"고 평가했다.
PEF 투자기업들의 매출, 자산, 고용 성장이 높게 나타나고 자산수익성(ROA)은 개선되며 경영효율성이 높게 나타났다는 설명이다. 다만 적극적 경영 참여보다는 소극적 재무적 투자 방식이 주를 이루면서 피투자기업의 지배구조 개선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강두순 기자 / 김효혜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