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서는 더욱 가파르게 둔화하고 있다. 지난 1·2월 중국 산업생산 증가율은 2009년 이후 최저치(5.4%)를 찍었다. 중국 정부가 목표로 하는 올해 경제성장률은 6.5~7%이지만 이보다 낮은 5.8%에 그칠 전망이다.
위안화가 올해 말 1달러당 6.9위안 선까지 약세를 보일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달러화 기준 중국의 명목성장률은 마이너스가 유력해 보인다. 그만큼 중국의 글로벌 구매력이 감소한다는 의미다.
올 들어 중국의 수출입 금액은 이미 20% 넘게 줄어들었다. 게다가 중국은 자국 내 과잉 공급을 글로벌 시장에서 일부 해소하기 위해 위안화의 완만한 약세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 글로벌 수요를 견인하는 힘은 더욱 떨어질 수밖에 없다.
중국은 국내총생산(GDP)에서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51%에 불과하다. 아직 전 세계 평균(75%)에 비해 크게 낮다. 중국의 경제 구조가 투자에서 소비 중심으로 전환되고, 위안화 국제화도 추진되면 장기적으로 중국이 글로벌 경제에 기여하는 힘은 커질 것이다. 하지만 향후 2~3년을 보면 중국 소비가 위안화 약세를 상쇄할 정도로 힘차게 늘기는 어려워 보인다. 몇 가지 원인이 있다.
첫째, 중국인들의 주머니가 예전처럼 두둑해지지 못하는 게 문제다. 중국의 1인당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2014년 10.1%에서 2015년 8.9%로 둔화됐다. 올해는 제조업 부진과 부동산·주식 등 자산가격 하락으로 중국 가계의 소득 증가율은 더욱 낮아질 전망이다. 최근 자동차 등 내구재 판매가 부진한 점이 대표적인 증거다.
중국 당국은 호적제도를 개혁해 약 1300만명의 불법 도시 거주자에게 합법적 지위를 허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그래 봐야 이는 13억 중국 인구의 1%에 불과하다. 특히 베이징 상하이 등 대도시의 주택 공급과 인구 증가는 계속 억제될 것으로 보인다.
셋째, 고령화와 함께 늘어나는 저축도 소비의 발목을 잡고 있다. 2014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한 중국의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계속 줄어들 전망이다. 또 중국은 사회안전망이 충분치 않기 때문에 중국 가계는 은퇴를 대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저축률을 유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중앙과 지방정부의 재정 기조가 예전처럼 강한 확장세가 아니라는 점이다. 중국 정부는 GDP 대비 재정적자 비중을 지난해 2.3%에서 올해 3%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일견 내수 회복에 큰 도움이 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과잉부채에 직면한 지방정부를 포함한 전체 재정 기조는 경제 성장과 가계 소비에 소폭 기여할 뿐이다.
앞으로 중국 소비증가율은 10% 이하로 떨어질 것이라고 본다. 물론 여전히 전 세계
자칫 중국 소비 전망치를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보고 기업 가치를 산출하거나 투자 전략을 세울 경우 실제 운용 성과는 예상보다 크게 부진할 수 있다. 한국의 대중국 수출 전망이 어두운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권영선 노무라 수석 이코노미스트][ⓒ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