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의 경제제재 해제와 박근혜 대통령 방문으로 이란 관련 수혜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러나 막대한 공사수주 금액에만 주목하는 ‘묻지마 투자’를 경계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박근혜 대통령과 함께하는 경제사절단 중 가장 큰 수혜를 볼 것으로 꼽히는 종목은 대림산업이다. 대림산업은 지난 1975년 5월 이란시장에 가장 먼저 진출했고, 경제제재가 시작된 뒤에도 진행하고 있던 프로젝트를 위해 국내 건설사 중 가장 늦게까지 이란에 남아 있었다. 이외 경제사절단에는 대우건설, 삼성물산, GS건설, 현대건설,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포스코, GS글로벌 등 건설·기계장비·자재, 플랜트·엔지니어링 관련 기업들이 대거포함됐다. 한국 업체의 이란 예상 수주금액은 최대 200억달러, 약 22조원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들 기업의 이란 관련 실적에 대한 맹신은 위험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정부에서 발표한 양해각서(MOU)가 실질적인 수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뿐 아니라 넘어서야 할 장애물이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부터 지속된 저유가로 중동국가의 재정이 어려워져 실질적인 사업집행은 기간이 더욱 길어지는 등 보수적으로 이뤄질 수밖에 없다. 이외에 일본·중국 자본과의 경쟁, 저유가로 인한 추가발주 환경 위축, 사우디 등 타 중동국가와의 관계 등도 위험요소로 지목된다.
장문준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란 진출 기업에 대해 펀더멘털(기업 기초여건)보다 센티멘털(정서적·감성적 기대)에 따른 판단이 앞서고 있다는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한다”면서도 “MOU가 구체적인 계약으로 이뤄지기 위해 결제시스템과 제반사항 등 구축해야 할 일이 산적해 있기 때문에, 심지어 해당 건설사들도 이란 관련 성과에 대해 소극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장 연구원은 이란 발주처 요청사항과 정부 금융지원 범위 간의 괴리도 지적했다. 실제 이란당국은 자금 부족을 이유로 플랜트 수주시 동반 파이낸싱 대출 요건을 강요하고 있어 건설사에 부담이 돌아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는 “널리 보도된 현대건설의 병원 프로젝트에만 특이하게 정부자금이 많이 지원됐을 뿐, 오랜 경제제재로 이란의 재정이 부실하기 때문에 개별 건설 자금의 80~90%는 우리나라 정부와 해당은행에서 해결해야 한다”며 “정부의 지원자금은 50%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분석돼 남은 금액은 건설사가 은행을 통해 융통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상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향후 중국과 일본 등 대규모 자본을 동원한 국가와의 수주 경쟁을 우려했다. 그는“일본과 중국정부도 정부차원에서 파이낸
[디지털뉴스국 윤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