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코스피 1980선이 무너진 지난 12일부터 26일까지 11거래일 동안 삼성전자의 일평균 거래량에서 공매도 물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21.24%에 달했다. 지난 4월 한 달간 일평균 공매도 비중이 5.1%, 이달 2일부터 11일까지 일평균 공매도 비중이 5.7%였던 것과 비교해 한 달 새 4배가량 급증한 것이다. 특히 20일에는 삼성전자 총거래량 15만9211주 가운데 공매도 물량이 29.75%인 4만7363주에 달했다. 삼성전자 공매도 비중이 30%에 육박한 것은 2014년 7월 22일 32.87%를 기록한 이후 2년여 만에 처음이다. 공매도 주체의 85% 이상이 외국인이었다. 삼성전자의 대차잔액도 26일 기준 5조6160억원으로 이달 들어 9234억원(20%) 증가했다.
공매도는 주식을 빌린 뒤 시장에 팔고 나중에 주식을 사서 되갚는 투자 방식이다. 공매도가 늘어났다는 것은 향후 주가 하락을 점치는 세력이 많아졌다는 의미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1분기 실적에서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한 데 이어 2분기에는 1분기보다 실적이 더 좋아질 것이란 장밋빛 전망이 우세하다. 증권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삼성전자의 2분기 실적 컨센서스(평균 전망치)는 매출액 50조6000억원, 영업이익 6조7200억원, 순이익 5조320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1% 안팎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증권사에선 2분기 영업이익이 7조원을 웃돌 것이라는 전망도 속속 내놓고 있다. 이 같은 실적 기대감 덕분에 삼성전자의 주가도 26일 기준 129만6000원으로 지난 12일보다 1.1% 상승했다. 일부 세력의 공매도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버텨낸 것이다.
![]() |
하지만 하반기 삼성전자의 실적 불확실성이 공매도를 초래했다는 의견도 있다. 갤럭시S7 선전 덕분에 2분기까지는 실적 전망이 밝지만 하반기에도 우상향세를 이어갈지는 미지수라는 얘기다. 오히려 반도체 업종 2등주인 SK하이닉스의 실적 반등 기대감이 더 커 일부 헤지펀드들이 삼성전자를 파는 대신 SK하이닉스를 사는 식의 '롱숏 플레이'를 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김민지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SK하이닉스의 실적이 2분기까지 저점을 찍은 후 반등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며 그동안 IT업종 내에서 삼성전자를 롱(매수), SK하이닉스를 숏(매도)하던 헤지펀드들이 최근 포지션을 바꾸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실제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5월(2~26일) 일평균 공매도 거래대금은 405억원으로 4월(126억원)보다 3배 이상 늘었지만, SK하이닉스의 5월 일
최근 삼성중공업 구조조정과 관련해 채권단과 금융당국이 삼성전자에 대주주로서 책임 있는 역할을 주문하고 있는 게 외국인 공매도를 부추겼다는 분석도 있다. 삼성전자는 삼성중공업 지분 17.6%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배미정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