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보험사들의 상반기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보험매출(수입보험료) 기준 삼성·한화·교보의 시장점유율은 2014년 말 49%에서 2015년 말 46.9%, 올 5월 말 46.1%로 꾸준히 감소했다. 반면 NH농협·미래에셋·신한생명 등 국내 중소형 12개사의 점유율은 같은 기간 30.8%에서 32.2%로 높아졌다. 라이나·푸르덴셜생명 등 외국사 10개의 점유율도 20.2%에서 21.7%로 늘었다.
보험업계에서는 대형사의 점유율 하락이 보험대리점과 온라인 등 채널이 다양화된 이유도 있지만 수익성 높은 보장성 보험 위주로 상품구조를 개편한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교보생명은 전체 보험 매출 중 보장성 보험 매출이 지난해 말 49%에서 올 상반기 55%까지 늘었다.
종신보험 등 보장성 보험은 일반적으로 월평균 납입하는 보험료 액수가 연금 등 저축성 보험에 비해 많지 않아 매출 증가에는 큰 도움을 주지 않는다. 하지만 저축성 보험의 경우 새 회계기준(IFRS4 2단계) 시행 시 매출로도 잡히지 않고 현재에 비해 판매 당시 고금리로 판매한 상품이 많아 '역마진'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보험업계는 보고 있다. 특히 고금리를 약속하고 특정 시점에 일시납으로 대규모 보험료를 받는 경우 그만큼 나중에 고객들에게 돌려줘야 될 보험금 부담이 큰 상황이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대형사들의 이 같은 사업구조 전환이 장기적으로는 바람직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한화생명은 올 초부터 5월까지 일시납으로 보험료 1조223억원(생명보험협회 통계 기준)을
[박준형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