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 망치는 포퓰리즘 법안 ◆
정치권에 금융 포퓰리즘 법안 광풍이 불고 있다. 그렇지 않아도 뒤처진 국내 금융산업 선진화를 위해 과감한 규제 혁파가 급선무지만 오히려 '우물 안 개구리'식 규제 장벽만 더 쌓아 올리고 있어 심각한 후폭풍이 염려된다.
매일경제신문이 20대 국회에서 발의돼 계류 중인 금융 관련 제·개정안 86건을 분석한 결과 20건이 반시장적인 포퓰리즘 성향이 짙은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 비전문가인 의원들이 발의한 금융 법안 4건 중 1건이 현실을 도외시한 대중영합적인 법안이라는 얘기다.
이들 금융 포퓰리즘 법안은 겉으로는 서민 금융비용 부담을 완화하는 입법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시장질서를 왜곡해 금리를 올리고 대출 문턱만 높이는 역효과를 낳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경고다.
설 연휴 직전인 1월 26일 민병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연령, 성별, 학력 등을 이유로 금리 등 대출계약 조건을 대출자별로 부당하게 차별하면 최고 5000만원 과태료를 부과한다는 내용의 은행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같은 내용의 자본시장법, 보험업법, 여신전문법, 상호저축은행법, 대부업법 개정안도 이날 함께 발의됐다. 사실상 모든 금융회사 대출을 대상으로 한 이 법안은 기업 규모별 대출금리도 차등화하지 말 것을 규정했다.
이와 관련해 금융권은 현실을 도외시한 대중영합적 금융입법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직업과 성별 그리고 연령 등에 따라 금융권 고유의 신용시스템에 따라 신용도가 달라질 수밖에 없음에도 이를 무시하고 동일한 금리를 적용하라는 것인데 앞뒤가 안 맞는다는 지적이다.
돈을 꿔달라는 사람과 회사의 신용도를 분석해 대출금리를 결정하는 것은 금융회사의 기본적인 업무 영역인데, 의회가 이래라저래라 간섭하는 것 자체가 반시장적이라는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부당한 차별 금지' 같은 선언적인 문구는 그렇다 쳐도 공무원 등 안정적인 직장인에 대한 대출금리 우대 등 신용등급 심사에 기반한 정상적인 시장금리 책정까지 간섭하는 것은 과도한 경영 간섭"이라고 잘라 말했다.
송영길 민주당 의원이 대표 발의한 은행법·한국은행법 개정안은 한술 더 뜬다. 개정안 골자는 대출금을 성실 상환한 차주에게 만기가 되면 금융사가 받은 이자 중 일부를 되돌려주는 '성실이자 환급제'다. 금융사들이 일정한 리스크를 감안해 산출한 대출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와 관련해 박창균 중앙대 교수는 "금리와 상품 등은 금융사가 시장시스템하에서 자율적으로 선택하는 게 정상"이라며 "정치권의 무분별한 포퓰리즘 입법은 법률 만능주의"라고 꼬집었다.
[김종훈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