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덩치 불리는 금융공기업 ◆
김태기 교수와 김동주 변호사는 지난해 20대 국회의원 총선에 새누리당 후보로 출마를 시도했지만 모두 공천 과정을 넘지 못하고 총선에 나서지 못했다.
김 교수는 박근혜 대통령 노사정위원회 자문위원으로 서울 강동갑 한나라당 당협위원장, 박근혜 대선 후보 선대위 정책메시지 단장 등의 이력을 갖고 있다. 김 변호사는 서울중앙지검 검사 출신으로 역시 20대 총선에서 경선에 참여했다.
주택금융공사는 앞서 지난해 3월에도 여권 관계 인사 2명을 사외이사로 선임한 바 있다. 신용선 사외이사는 새누리당의 전신인 민주자유당에서 선전국장과 교육원 부원장 등을 지낸 경력이 있고, 신 이사와 함께 선임된 서정환 창신대 경영회계학과 교수는 새누리당 경남도당에서 공천관리위원을 맡은 바 있다. 이 밖에 새누리당 소속으로 경남도의회 의원을 지낸 임경숙 사외이사까지 하면 주택금융공사 7명의 비상임이사 중 5명이 정치권 출신 인사들로 구성돼 있다.
최근 정치권 인사들의 금융공기업 낙하산 투입은 영남지역으로 이전한 금융공기업에 특히 두드러진다. 금융공기업들이 지방으로 이전하면서 사외이사 선임 과정에 해당 지역 정치권의 입김이 상대적으로 더 강해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9월 임명된 이기우 기술보증기금 비상임이사는 부산시 경제부시장 출신으로 여의도연구소 경제정책자문위원회 위원과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자문위원으로 활동한 바 있다.
반면 민간 금융회사들은 최근 행장·임원 등 지도부 선임 과정에서 낙하산 인사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은행연합회, 생보·손보·여신금융협회, 저축은행중앙회 등 금융협회들도 모두 민간인 출신이 수장을 맡고 있는 가운데 관피아나 정피아 낙하산이 그만큼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특히 시중은행의 상임감사나 사외이사는 정부의 입김에 따라 외부 인사가 임명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 들어서는 내부 인사로 바뀌는 모습이다. 민영화에 성공한 우리은행의 경우 3일
[박윤예 기자 / 노승환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