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 순위 1~10위에 있는 대형 건설사는 서울·수도권 지역에서 올해 1~5월 총 2만9684가구를 분양할 예정이다. 전년 동기(2만4092가구)보다 23.2% 증가했다. 하지만 시공능력평가 순위 10위 밖에 있는 중소형 건설사의 올해 1~5월 분양 예정 물량은 1만3201가구로 전년 동기(1만9178가구)보다 31.2% 급감했다.
서울·수도권에서 5월 분양하는 단지는 총 2만4288가구다. 이 중 대형 건설사 분양 물량은 1만7996가구로 중소형 건설사(6292가구)보다 무려 3배 가까이 많다. 양극화가 더욱 심해지고 있는 것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분양시장이 좋아지자 대형 건설사는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적극적으로 분양 물량을 늘리고 있지만 중소형 건설사는 집단대출 규제에 발목이 잡혀 오히려 물량을 줄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사실 분양 시기가 늦춰질수록 시행사가 부담할 금융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기 때문에 건설사가 분양 시기를 계속 늦추기란 쉽지 않다. 그럼에도 중소형 건설사가 대선 후에도 선뜻 분양에 나서지 못하고 있는 것은 그만큼 집단대출 규제가 미치는 영향이 심각하다는 방증으로 풀이된다.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서울 및 수도권에서 분양한 신규 분양단지의 1순위 평균 청약 경쟁률은 1월 2.86대1, 2월 0.92대1로 낮았다. 그러나 3월은 서울·수도권에서 공급한 신규 분양단지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이 평균 14.08대1로 나타났다. 11·3부동산 대책 발표 전 수준까지 회복된 것이다.
대림산업 관계자는 "기존 청약률·계약률이 높았던 지역에서 1군 건설사가 진행하는 현장은 집단대출을 받는 데 어려움이 없다고
한국주택협회 관계자는 "중도금 납부가 분양한 지 4~6개월 뒤에 이뤄지기에 '그전까지 어떻게든 되겠지'라는 막연한 생각으로 분양 일정을 잡고 있는 건설사들이 적지 않다"며 "다음달 돼서도 상황이 달라지지 않는다면 줄줄이 분양 일정을 늦출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용환진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