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행·증권사 스타 프라이빗뱅커 6人에게 물었더니
전문가들은 이구동성으로 국내 주식에 대한 투자 확대를 강조하고 있는 반면 채권과 해외 주식에 대해선 오히려 선별적 접근 전략을 제시했다. 또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가운데 높아진 원·달러 환율 변동성을 근거로 환노출 금융투자 상품 투자 시에도 유의해야 한다는 진단을 내렸다.
5일 매일경제신문이 증권사·은행의 대표 프라이빗뱅커(PB) 6인에게서 '피해야 할 금융투자 상품'을 종합한 결과 △채권형펀드 △주가연계증권(ELS) △일본 관련 펀드 △미국 주식형펀드 △환노출 펀드 및 채권 등이 꼽혔다.
일단 가장 많은 지목을 받은 기피 투자처는 국내외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였다. 이미 지난해부터 이어진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국내는 물론 주요국으로 확산될 여지가 큰 만큼 채권 투자자들은 투자 손실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에서다. 일반적으로 채권 가격은 시중금리 방향과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금리가 올라가면 채권 가격이 하락하게 된다.
김재동 한국투자증권 신도림지점장은 "자산 배분 관점에서 포트폴리오 내 일부 채권을 편입한 것 외에 추가적으로 채권에 대한 투자는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면서 "금리 상승은 향후 1~2년간 바뀌지 않는 글로벌 정책 트렌드이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이 같은 분위기를 감안해 이미 국내 채권형펀드에선 연초 이후 1조9928억원(한국펀드평가·2일 집계 기준)이 빠져나갔다. 국내 채권형펀드 수익률도 저조했다. 올해 들어 지난 2일까지 국내 채권형펀드의 누적 수익률은 0.5%로 최근 1년(0.9%)과 2년(3.4%)에 비해 낮았다. 그나마 해외 채권형펀드는 연초 이후 7121억원이 유입됐는데 이는 금리 상승기에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글로벌하이일드채권펀드로의 자금 쏠림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김탁규 기업은행 반포자이WM센터 팀장은 "채권형펀드엔 가급적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면서도 "다만 펀드 만기와 채권 만기를 일치시키는 전략을 활용한 채권 만기 매칭(채권이 부도나지 않는 한 만기까지 정해진 이자와 원금 보장) 펀드의 경우 그나마 금리 상승에 따른 채권 가격 손실을 보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PB들은 코스피200, 유로스톡스50, S&P500 등 국내외 주요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에 대해서도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외 주요 지수가 급등하면서 차익 실현을 위해 ELS를 조기 상환하는 투자자들이 늘고 있는 반면 그만큼 단기 수익을 누리고자 재투자에 나서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전했다.
신황용 미래에셋대우 압구정 WM선임매니저는 "지금 가입할 때 한 번 더 고민해 봐야 할 상품은 단연 국내외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라며 "미국, 유럽, 일본 등의 지수가 전 고점 혹은 고점을 돌파한 상황에서 기대수익률이 5~6%인 ELS 투자는 효율적이지 못한 투자처"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만약 ELS 가입을 원하는 투자자라면 손실 진입구간(하방녹인배리어)이 38%로, 기초자산 가격 하락에 따른 손실 진입구간이 낮은 상품에 제한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박승안 우리은행 투체어스강남센터장은 원·달러 환율 변동성이 높아진 만큼 환에 노출된 금융투자 상품은 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센터장은 "트럼프의 말 한마디에 환율이 요동치는 지금 같은 상황에선 달러 강세와 약세 변동을 예측할 만한 지표를 선별하기가 어렵다"면서 "당분간은 미국의 정책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해소될 때까지 환율에 민감한 상품은 가급적 신규 가입을 미루는 것이 나을 것"이라고 전했다. 또 김진곤 NH투자증권 프리미어블루 강북센터 상무는 엔화 강세 움직임에 따라 수익률 상승에 제한이 있는 일본펀드에 대해 보수적인 접근을 요했다. 현재 일본펀드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1.4%로 해외 주식형펀드(7.8%) 대비
아울러 정세호 한국투자증권 분당PB센터 팀장은 "현재 좋다고 말하는 자산군에는 이미 호재가 80% 이상 선반영돼 있기 때문에 냉정한 판단이 필요하다"면서 "최근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는 미국 펀드가 그 일례이며, 단기 투자 관점에선 오히려 피해야 할 투자처"라고 말했다.
[고민서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