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가 2250선도 넘어서며 최고치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기업 실적 호조와 글로벌 경기 회복, 국내 증시의 밸류에이션 매력 등을 근거로 코스피가 2350선까지 오를 것이란 장밋빛 전망과 함께 상승 탄력 둔화에 대비해야 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8일 오후 1시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1.90포인트(0.53%) 오른 2253.14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 4일 사상 최고치를 돌파하며 박스피의 오명을 벗은 코스피는 이날 2250선도 뛰어넘어 2300선을 향한 질주를 계속하고 있다. 대형 증권사 가운데 NH투자증권과 신한금융투자의 코스피 상단 전망치는 2350, 삼성증권은 2330, 메리츠종금증권은 2300 등이다. 아직도 상승 여력이 충분히 남아있다는 의미다.
코스피 강세의 가장 큰 요인으로 기업 실적 개선이 꼽힌다. 증권가에서는 기업 실적 개선이 단지 1분기에 국한된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연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코스피 강세도 당분간 지속될 것이란 게 증권가의 시각이다.
서보익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현 시점에서 1분기 실적보다는 2분기와 3분기의 방향성이 더욱 중요한데, 2분기와 3분기 영업이익 전망치가 상향 조정되는 속도는 더욱 가파르다"라며 "기업 이익 증가율이 코스피 지수 상승률을 압도하고 있어 코스피 지수 상승에도 불구하고 주가수익비율(PER)은 오히려 하락 중"이라고 분석했다.
마주옥 한화투자증권 연구원도 "지난 4월 국제통화기금(IMF)은 유로존을 비롯해 중국, 러시아, 한국 등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상향 조정했고 예상보다 높은 물가상승률과 경제성장률에 힘입어 올해 기업실적 전망치 역시 상향 조정되고 있다"라며 "당분간 글로벌 주가지수의 사상 최고치 경신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잇따라 해소되고 있는 점도 증시를 견인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지난 주말 프랑스 대선이 끝났고 내일 우리나라의 새 대통령도 결정된다. 미국에서는 트럼프 케어가 하원을 통과하며 트럼프 정책에 대한 의구심을 일부 해소하는 데 성공했다.
김정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특히 지난 주말 프랑스 대선의 불확실성 해소와 함께 이번주 우리나라의 대선과 대선 이후의 정책 기대감 등 그동안 불확실성으로 작용했던 정치적 요인들이 증시에 우호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이어 "3월 들어 동반 순유입되다 주춤했던 외국인의 프로그램 비차익과 비프로그램 동반 순매수는 지난 프랑스 대선 1차 투표 이후 다시 동반 순유입되고 있는 모습"이라며 "지난 2011년 이후 외국인의 프로그램 비차익과 비프로그램 순매수가 동반 유입된 2차례 모두 코스피가 약 4개월 가량의 상승세가 이어지며 지수가 10~13% 가량의 상승폭을 기록했다는 점은 향후 지수 상승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말했다.
하지만 신중론도 만만치 않다. 코스피의 상승세가 한풀 꺾일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코스피 강세는 삼성전자 한 종목의 주가 상승에 따른 것으로 불안한 부분이 있는데다 국제유가 급락,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중국 A주의 MSCI 신흥국시장 편입 가능성 등 악재들이 줄줄이 대기 중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코스피 단기 저점이었던 지난 4월 19일 이후 코스피 상승기여도를 보면 반도체 업종, 삼성전자가 2.67%, 2.33%로 코스피 상승률 4.81%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라며 "은행, 운송, 소프트웨어, 화학, 자동차 업종의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 추이는 정체 또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코스피의 추가 상승폭이나 탄력에 대해서는 의구심이 크다"고 말했다.
김한진 KTB투자증권 연구원 역시 "금융위기 이전을 기준으로 한국증시는 글로벌증시대비 약 40% 저렴하지만 상대 펀더멘털 매력 또한 약 30% 정도 낮은 것으로 추산된다"라며 "한국증시가 절대 저평가된 상태는 아니라는 의미"
그러면서 "지금은 이러한 상대 펀더멘털을 모두 고려해도 과도한 저평가 부분 만큼을 주가가 보정되고 있는 과정"이라면서 "상반기까지의 펀더멘털 개선 폭보다 향후 개선탄력이 약하고, 반도체경기의 편향성이 지속된다면 삼성전자를 뺀 주가지수는 제한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디지털뉴스국 고득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