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제공 : 한국은행] |
한은이 22일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위험가구 수는 2016년 126만3000가구로 부채가구의 11.6%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가구가 보유한 금융부채 규모는 186조7000억원으로 총 금융부채의 21.1%에 달한다. 고위험가구의 경우 2016년 현재 전체의 2.9%인 31만5000가구가 62.0조원(7.0%)의 금융부채를 보유하고 있다.
위험가구는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원리금 상환비율(DSR)과 총부채/자산평가액(DTA)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부실위험지수(HDRI)가 100을 초과하는 가구를 말한다. 고위험가구는 위험가구 중 원리금 상환부담이 크고(DSR>40%) 자산매각을 통한 부채상환능력도 취약(DTA>100%)한 가구로 정의된다.
금리 상승시 채무상환능력 변동 폭을 살펴보면 대출금리가 각각 0.50%포인트, 1.00%포인트 및 1.50%포인트 상승하는 경우 고위험가구는 2016년보다 각각 8000가구, 2만5000가구, 6만 가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위험가구의 금융부채 규모는 2016년보다 각각 4조700
한은은 "대출금리가 소폭 상승하는 경우 가계의 채무상환능력 저하 정도가 제한적일 것으로 평가된다"면서도 "반면 단기간에 큰 폭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고위험 가구 수 및 부채가 비교적 크게 늘어나면서 가계부채의 취약성이 높아질 소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뉴스국 김진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