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아파트값 75주만에 하락 반전
10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주간 변동률(7일 기준)이 -0.03%로 하락 전환했다. 특히 최근 급등하던 지역 중심으로 하락폭이 두드러졌다. 지난주 0.4% 급등했던 서초·강남·송파·강동 등 강남4구는 0.11% 하락했다. 주요 단지 재건축이 몰려 있는 강남4구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청약시장에 돈이 몰리고 재건축아파트 호가가 뛰는 등 과열 양상을 보였다. 지난해 11·3 대책과 올해 6·19 대책에서 강남4구의 집값을 잡으려 했으나 오르기만 하다가 이번에 이들 지역을 투기과열지구 및 투기지역으로 지정하자 급등세가 멈췄다. 특히 투기과열지구에 포함된 규제 중 재건축조합원 지위 양도 금지가 투자자들 심리에 직격탄을 날린 것으로 보인다.
강남4구 외에는 성동구가 -0.2%로 가장 하락폭이 컸다. 성동구는 서울숲 인근 성수동이 고급 부촌으로 변신하고 있는 데다 정비사업이 활발해 최근 마포, 용산과 함께 '마용성'으로 불리며 주목받았다. 오름폭이 가팔랐던 만큼 단기적인 충격도 큰 것으로 풀이된다. 마포·용산구도 0.2% 넘던 상승세가 0.03%로 줄었다.
수도권 전체 상승률도 지난주 0.19%에서 0.02%로 급감했다.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됐거나 과거 청약조정지역으로 지정됐던 곳을 중심으로 약세가 두드러졌다. 지난주 0.39% 올랐던 과천은 보합으로 돌아섰고, 성남시 분당구는 지난주 0.64%였던 상승폭이 0.19%로 줄었다. 성남은 이번에 투기과열지구에는 포함되지 않아 풍선효과가 예상되던 지역이다. 성남과 함께 청약조정지역인 하남, 고양, 광명, 남양주도 상승폭을 대부분 반납했다. 평택은 이번 대책으로 별다른 규제를 받지는 않지만 0.03% 상승에서 0.14% 하락세로 돌아섰다. 만성적인 미분양 우려가 기존 분양자들의 대출 상황과 맞물려 주택 가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지방은 0.02% 상승에서 보합으로 전환했지만 충격은 일부 지역에서만 나타났다. 투기과열지구에서 제외된 부산은 상승률이 0.1%에서 0.03%로 줄었고, 투기과열지구인 세종도 0.27%에 달했던 상승폭을 모두 반납하고 보합으로 돌아섰다.
같은 날 KB국민은행이 발표한 아파트 시세도 한국감정원 통계와 방향은 같았지만 등락폭은 다소 차이가 났다. 지난 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주간 상승률은 0.08%로 전주(0.37%) 대비 상승폭이 대폭 줄기는 했지만 하락하지는 않았다. 강남 4구 역시 일제히 하락세로 돌아선 한국감정원 통계와 달리 강남·송파·강동구는 0.05~0.08% 수준 상승세를 유지했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교수는 "대책 발표 후 관망세로 거래량 자체가 워낙 적어졌기 때문에 지금 발표되는 시세를 완전히 신뢰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8·2 대책이 중장기적으로 시장 침체를 야기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박원
전세시장에서도 지역별 온도차가 뚜렷했다. 전국 아파트 전세금은 0.01% 오르며 전주와 유사한 등락폭을 유지한 반면 서울 전세금 상승률은 0.08%에서 0.02%로 줄었다.
[정순우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