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구원은 각 지방자치단체의 도시침수 예방대책 수립을 돕고자 침수 위험이 있는 지역 및 요인에 대한 정보를 담은 지원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에 국토연구원이 개발한 시스템은 전국적으로 도시침수 위험이 높아 방재대책이 필요한 곳을 중점관리대상지로 선정하고 지역별 기후변화, 폭우의 영향 등이 담긴 공간정보를 제공한다. 도시침수의 물리적, 사회적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고위험지역을 결정하기 때문에 지자체별 방재대책 수립에 필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 국토연구원 설명이다.
국토연구원은 중점관리대상지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국제적으로 공인된 19가지 지구순환모형 모의자료를 수집한 뒤 2041~2070년에 해당하는 시계열 강수량 자료를 확보해 국내 지역별 향후 강우 정도를 추산했다. 여기에 국토지리정보원 인구주제도와 국토교통부 용도지역도를 활용해 파악한 지역별 침수 취약성을 접목해 중점관리대상지를 선정했다.
정부는 기후변화 및 도시집중화로 인해 도시침수의 위험이 커지면서 다양한 위험저감대책을 고민해오고 있다. 2015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개정을 통해 도시계획 수립시 기초조사 단계에서 기후변화와 관련된 6가지 재해에 대한 취약성 분석을 실시해 결과를 반영하도록 했으며 지난해에는 재해취약성 분석과 관련된 지침도 개정했다.
하지만 재해 예방형 도시계획을 수립하려면 지자체 담당자 및 설계회사에 신뢰성 높은 위험정보가 제공돼야 하는데 아직 제도 시행 초기인 탓에 정보의 정확성이나 접근성에 한계가 존재했다. 이에 국토연구원은 도시침수에 대한 예방대책 지원시스템을 우선적으로 개발함으로써 지자체의 위험지역 및 위험요인 파악과 대책 수립을 돕기로 했다. 이상은
[정순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