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개 대형건설사 분석해보니
이 같은 이중·삼중 악재 속에 문재인정부가 지난 8월 2일 고강도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지 한 달 만에 건설업종 시가총액의 약 10%가 증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주가 통신주와 함께 규제 리스크에 직면한 대표적 업종으로 분류되며 직격탄을 맞은 것이다. 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건설업종지수는 지난달 2일 종가 기준 121.62에서 이날 장 마감 기준 108.40으로 한 달 만에 10.8% 급락했다. 이는 같은 기간 코스피 하락률(-4.4%)의 두 배를 웃돈다. 시가총액 기준으로는 24조4000억원에서 21조7600억원으로 2조6000억원가량 줄어든 셈이다.
건설업종에 대한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된 것은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 건설사 실적 부진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대출·세제·청약제도·재건축 등 부동산 전반에 대한 강력한 규제는 주택 가격 하락과 거래량 축소로 이어질 수 있고 분양가 하락으로 재건축 진행 속도도 늦춰질 가능성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특히 최근 건설사들의 실적 개선이 대부분 국내 주택 부문에서 비롯된 만큼 이번 규제가 중장기 성장 둔화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도 있다. 김선미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2018년 이후 대형 건설사 신규 분양 공급이 축소될 전망이며 2018년부터 수익성이, 2019년부터는 매출이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2011년과 달리 이번엔 재개발·재건축 공급 비중이 높은 대형사들도 타격을 피할 수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대책 발표 이후 코스피200에 포함된 6개 대형 건설업체의 주가는 평균 10.5% 빠져 업종 평균 하락률과 엇비슷했다. 특히 현대산업과 대우건설은 이 기간 각각 13.1%, 11.8% 급락했다. 대우건설은 올 상반기 연결 영업이익이 466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0% 급증했는데, 국내 주택공사 매출이 반기 만에 2조원을 넘어설 정도로 국내 부문 기여도가 높았다. 국내 주택 의존도가 높은 만큼 규제 여파가 클 수 있다는 분석이다.
반면 이미 충분히 물량을 확보했거나 가격 조정 폭이 작은 수도권 물량이 많은 GS건설과 대림산업은 상대적으로 여파가 크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GS건설과 대림산업은 각각 주가가 9.3%, 7.3% 하락해 다른 건설사에 비해 선방했다.
이민재 NH투자증권 연구원은 "GS건설은 상반기 이미 1만6000가구를 공급해 연간 목표치(2만7000가구)의 60%를 달성했다"며 "올 4분기부터는 해외 부문 실적 개선 가능성이 높아 규제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GS건설은 지난 2일에도 방배13구역 재건축 시공권(공사비 5752억원) 수주에 성공했다.
대림산업은 금융위기 이후 분양 리스크를 줄이는 방식으로 주택사업을 진행해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경자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대림산업은 건설업계 최초로 리츠AMC를 설립해 다양한 부동산과 임대주택사업을 관리함으로써 민간 임대주택 시장의 변화에 대응할 준비를 마쳤다"며 "이란에서도 수주 성과가 본격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건설업종 주가가 바닥을 확인한 만큼 다른 대형주도 저가매수를 고려할 만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라진성 키움증권 연구원은 "재건축 규제 강화로 내년부터 신규 공급 계획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면서도 "브랜드와 입지에 강점을 보유하고, 재무구조가 건실한 대형사는 시장 점유율을 높일 기회"라고 내다봤다. 그는 "신규 분양시장은 여전히 호황이며 3분기 실적도 양호할 전망"이라면서 "실적
[신헌철 기자 / 이용건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