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군산 출신으로 호남권 금융인 '대부'로 평가받는 신 전 사장은 1967년 한국산업은행에 입행한 뒤 1982년 신한은행 창립 멤버로 자리를 옮겼고 2003~2009년 신한은행장을 역임했다. 2009년 신한금융지주 사장에 올랐지만 이듬해 터진 신한사태로 자리에서 물러났다. 와신상담 후 지난해 우리은행 사외이사에 이름을 올리며 금융계에 복귀했다. 지난 5월 대법원이 신한사태 당시 신 전 사장에게 씌워진 주요 혐의 대부분에 대해 무죄를 확정하면서 자격 논란 우려도 사라진 상태다. 적지 않은 문재인정부 인사들과 친분을 유지하고 있는데, 산업은행장 하마평에 오르내리기도 했다. 전날 신한금융지주가 신 전 사장에게 부여한 스톡옵션 행사 보류 조치를 해제한 것도 신 전 사장의 은행연합회장 선임을 염두에 둔 움직임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민 전 행장은 충남 천안 출신으로 국민은행과 주택은행 합병 뒤 발탁된 첫 내부 출신 최고경영자(CEO)다. 1981년 국민은행에 입행한 후 2010~2013년 KB국민은행장을 지냈다. 지난해부터 금융감독원의 은행·비은행권역 옴부즈맨으로 활동하고 있다. 우리은행장 출신인 이 전 이사장은 은행연합회장 선출이 있을 때마다 회장 후보군에 포함된 바 있다. 박병원 회장이 뽑힌 2011년, 하 회장이 선출된 2014년에도 은행연합회장 자리를 놓고 경쟁을 했다. 1970년 한일은행에서 뱅커 생활을 시작한 후 2008년 우리은행장을 거쳐 신용회복위원회 위원장, 지난해 서민금융진흥원으로 흡수된 미소금융중앙재단 이사장을 역임했다. 이 밖에 김창록 전 산업은행 총재(68)도 물망에 오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재무부 출신의 정통 관료이지만 국제금융센터 등에서 민간금융 경험을 쌓은 점에서 민간 출신인 유력 후보 3인과는 또 다른 다크호스로 부상하고 있다. 경남 창녕 출신이며 행정고시 13회로 관직에 입문했고 재무부 국제관세과장과 생명보험과장, 외환정책과장을 역임한 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표부 재경관을 지냈다. 이후 재경부 경제협력국장, 국제금융센터 소장과 금융감독원 부원장을 거쳐 참여정부가 출범한 이후
은행연합회가 탄생한 1984년 이후 현재까지 회장직을 지낸 11명 중 순수 민간은행 출신은 5대 이상철 전 국민은행장, 8대 신동혁 전 한미은행장, 12대(현재) 하영구 전 한국씨티은행장까지 3명뿐이고 나머지는 경제기획원과 재무부, 재정경제부 등 경제관료들이다.
[김태성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