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평수 선호현상이 약해지는 데다 가구원 수마저 줄어들면서 총주택수요면적이 17년 후인 2034년께 정점을 맞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총주택수요면적은 모든 개별가구의 주택수요면적을 합한 것이다. 주택수요면적은 개별가구의 주택면적에 소속 가구원수와 연령 등을 고려해 계산합니다.
총주택수요 자체가 감소하면서 중장기적으로 주택시장 정책은 공급이 아니라 관리 중심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송인호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23일 '주택임대시장 구조변화에 대응한 정책개선 방향' 보고서에서 한국노동패널 데이터(2000∼2014년)를 이용해 장기주택수요면적을 추정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2000∼2014년 한국노동패널 데이터에서 사용된 관측 수는 7만506가구로 주거점유형태별로 보면 자가가 62%, 전세가 24%, 월세가 14%였습니다.
전체 가구의 평균 주거면적은 87.78㎡(26.5평)였습니다. 자가 거주자들의 평균 주거면적이 102.5㎡(31평), 전세와 월세 등 임대가 62.8㎡(19평)로 나타났습니다. 임대 중에서도 전세가 71㎡(21.5평), 월세가 52.6㎡(15.9평)였습니다.
분석 결과 2000∼2014년 주택수요면적은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예를 들어 2000년에 비해 2001년과 2002년의 가구의 주택수요면적은 각각 0.66㎡(0.2평)와 1.65㎡(0.5평) 늘어났습니다.
2000년 대비 2014년 주택수요면적은 20.13㎡(6.1평)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그러나 해가 지날수록 증가폭은 축소됐는데 이는 과거 큰 평수의 주택 선호현상이 유지되고는 있지만 갈수록 약화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입니다.
보고서는 "향후 1인 가구의 수가 증가하고 가구당 가구원 수의 분화속도도 빠르게 진행되면서 큰 평수 선호현상은 더욱 약화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통계청의 2015∼2035년 연령별 가구추계를 반영해 총주택수요면적을 전망한 결과 모형 1(인구구조 요소만 고려) 기준으로 2015년 13억5천만㎡(4억1천만평)에서 2035년 16억1천만㎡(4억8천800만평)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모형 2(소득 등 사회경제적 요소 함께 고려) 기준으로는 2015년 13억1천만㎡(4억평)에서 2035년 15억2천만㎡(4억6천100만평)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총주택수요면적 증가율은 모형 1 기준 2015년 1.2%, 2020년 1.2%에서 2030년 0.6%로 떨어지고, 모형 2 기준으로는 2015년 1.3%, 2020년 1.2%, 2030년 0.4%에 이어 2035년 0%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보고서는"이러한 결과는 여러 가정에 근거한 시나리오 중 하나"라고 전제하면서도 "2034년께부터 총주택수요면적이 더이상 증가하지 않고 2035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는 시점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가구추계에 따르면 60∼64세 연령그룹의 가구원 수는 2034년부터, 55∼59세는 2029
보고서는 "인구 감소 및 가구원 수의 감소가 총주택수요면적 감소에 영향을 주는 것"이라며 "이는 향후 중장기적 관점에서 주택시장은 공급 중심이 아니라 관리 중심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돼야 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선제적인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