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보유세 시행 등으로 주택가격이 떨어지면 상대적으로 총부채상환비율(DTI)이 높은 중간 신용등급(5~6등급)의 연체율이 크게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DTI는 차입자의 소득에서 부채의 원리금을 상환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이보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29일 "중간신용등급자들의 평균 DTI가 상승하고 있어 앞으로 이자율 상승이 빨라지거나 주택가격이 급락하면 가계부채 건전성이 악화할 소지가 높다"고 강조했다.
금융연구원의 '가계대출의 연체율에 대한 이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9월말 기준 국내 가계대출 잔액은 1341조원까지 늘었다. 반면 2013년 초 1%를 넘어섰던 가계대출 연체율은 올해 9월말 0.25% 수준까지 하락했다. 가계대출의 70%를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이 상대적으로 건전성이 높은 차주 중심으로 이뤄졌고, 이자율 하락에 힘입어 신용등급이 낮은 차주의 연체도 감소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주택가격이 하락세로 접어들고 이자율이 올랐던 2010년 초부터 2012년 말까지는 신용 중간등급 차주 중 DTI가 높은 차입자의 연체율이 급등했다. 이 기간 소득에 비해 과도하게 대출을 받은 그룹이 이자부담이 커지고 차환 등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라는 게 금융연구원측의 분석이다. 더욱이 2015년 하반기부터 모든 등급에서 차입자의 평균 DTI가 소폭 올랐으며 특히 신용등급 중간인 5~6등급의 경우 5%p정도 치솟아 가장 큰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중간 신용등급의 차입자가 다른 신용등급 차입자보다 크게 대출을 늘린 것이므로 가계부채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디지털뉴스국 류영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