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차 국토종합계획 심포지엄서 '통일' 공식 의제로
국토교통부와 국토연구원,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는 14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5차 국토종합계획 수립 심포지엄'을 열었다. 이 심포지엄은 제5차 계획을 수립하기에 앞서 향후 수립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심포지엄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통일 시대에 대비해 지금까지 국토계획을 세울 때 가졌던 공간 영역을 확대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현재까진 남한 영역을 주로 고려했다면 앞으로는 한반도, 더 나아가 동북아시아 전체를 내다본 글로벌 국토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차미숙 국토연구원 국토계획·지역연구본부장은 '국토' 범위를 한반도와 대륙을 연결하는 포괄적인 공간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 대도시권에서 개성, 평양 대도시권, 신의주, 곽산에 이르는 서해축을 기반으로 한 '환황해경제벨트', 부산부터 울산 등 동남산업단지를 거쳐 나진·선봉까지 이어지는 동해축을 기초로 한 '환동해경제벨트', 남북 접경축이 핵심인 '접경지역평화벨트' 등 국토 영역을 글로벌 시각으로 봐야 한다는 뜻이다.
전문가들이 국토종합계획 수립 방향을 논의하면서 '남북한 통합 공간론'을 내세운 것은 의미가 있다. 국토종합계획이란 국토의 장기 비전을 제시하는 최상위 법정 계획으로 각 시도가 수립하는 도시 및 지역 계획의 밑바탕이 된다. 이에 따라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개발사업을 수립·추진한다.
1972년 제1차 계획(1972~1981년)이 수립된 이후 10년 단위로 2차 계획(1982~1991년)과 3차 계획(1992~2001년)이 수립·시행됐다. 4차 계획은 20년 단위의 장기 플랜으로 계획돼 2020년에 만료될 예정이다. 이번 5차 계획은 2021년 이후 2040년까지 국토 발전의 청사진을 제시하게 된다.
그동안 국토종합계획에서 한반도 전체를 고려해야 한다는 총론적 주장은 있었다. 하지만 광역교통망 인프라와 경제벨트 등 구체적인 내용을 정부와 학계가 동시에 들고나온 적은 거의 없었다. 정부가 중단됐던 '경원선 남측 구간 복원사업' 현장 공사를 재개하기로 결정하는 등 최근 변화된 분위기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 관계자는 "국토 공간을 한반도 전체로 놓는 것은 민감한 사안이라 방향성은 있었지만 구체성은 없었다"며 "5차 계획을 세우면서 이슈를 공식적으로 검토해 보자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선
[손동우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