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상한 공매도·주가급락…삼성바이오 부실회계 발표 후폭풍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1분기까지만 해도 삼성바이오로직스 주식 공매도 잔액은 하루 평균 5183억원 수준이었다. 그러나 삼성바이오로직스 주가 급등으로 이 같은 대규모 '베팅'은 대부분 손실로 돌아갔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주가가 올해 초 38만9500원에서 1분기 말 48만7000원으로 25%나 급등했기 때문이다. 이런 까닭에 지난달 들어 공매도 잔액은 지속해서 줄어들었다. 지난달 19일 공매도 잔액은 올해 1분기 평균을 밑돈 5043억원까지 쪼그라들었다. 그러던 것이 지난 1일 금감원 발표 직전까지 6188억원 규모로 다시 급등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공매도 주식 수만 놓고 보면 이 같은 추세는 더욱 뚜렷하다. 지난달 말 삼성바이오로직스 공매도 주식은 126만7984주로 지난 2월 12일(129만6250주)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그러다 지난 2일 하루에만 전체 공매도 주식의 8.8%인 11만1560주가 상환됐다. 금감원 발표가 공매도 세력에는 차익 실현 호재 뉴스였던 셈이다.
금융당국은 서둘러 시장 불확실성을 줄이기에 나섰다. 김용범 금융위 부위원장 겸 증권선물위원장은 6일 오전 금감원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한 특별감리 결과의 주요 내용을 보고받았다. 이 자리에는 김학수 증선위 상임위원 겸 감리위원장도 함께했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 1일 삼성바이오로직스가 2015년 종속회사였던 삼성바이오에피스를 관계회사로 변경하면서 회계처리를 위반했다고 잠정 결론을 내렸고, 이 같은 내용을 삼성바이오로직스와 감사인(삼정·안진회계법인) 등에 통지했다. 금감원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회계처리를 위반해 4년 연속 적자였던 기업이 당기순이익 1조9000억원을 거두면서 코스피 상장을 앞두고 기업가치를 고의적으로 부풀렸다고 지적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용범 부위원장은 "투자자 등 이해관계자가 많고 기업 회계에 대한 대내외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사안인 만큼 지난 2월 발표한 '자본시장 제재 절차 개선 방안'에 따라 충실한 의견 청취 및 심의를 통해 회의 운영을 공정하고 투명하게 해달라"고 말했다.
금융위는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한 임시 감리위를 17일 열기로 했다. 이는 기존 감리위가 이달 10일과 31일에 예정된 상황에서, 10일은 기간이 촉박해 당사자인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충분한 반론 기회를 얻지 못한 채 감리위에 대응해야 하는 현실을 반영한 조치로 풀이된다. 다만 이번 사안은 회계처리 기준에 대한 첨예한 논란이 있는 만큼 17일에 이어 추가로 감리위가 열릴 가능성도 높다. 17일 감리위에서 징계 여부를 결정하지 못하면 재차 감리위에서 논의될 전망이다.
감리위는 전문심의기구로 금융당국 관계자와 회계사, 변호사 등 전문가 9명이 의사결정을 한다. 최대한 만장일치로 의사결정하며 만장일치에 실패할 경우 '3분의 2' 이상 동의로 소수의견을 첨부해 증선위에 안건을 상정한다. 안건이 상정될 경우 다음 단계인 증선위는 이르면 23일 또는 다음달 7일에 열릴 것으로 보인다. 증선위는 금융위 위원 2명과 민간 전문가 3명 등 총 5명이 논의 후 만장일치로 사안을 의결해 금융위원회에 이를 상정하는 의사결정 구조를 갖고 있다. 민관이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질 경우 쉽게 통과될 수 없는 구조다. 이처럼 삼성바이오로직스 관련 처리 방안이 속도를 내고 있지만 의견 대립이 첨예한 까닭에 신속한 처리가 어려울 가능성도 여전하다. 당국 입장은 물론 삼성바이오로직스 주장 정리 등이 첨예하게 얽히고, 올해부터 진행하는 대심제 방식 논의에 따라 당사자에게 충분한 반론 기회를 주도록 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한편 금융당국은 삼성바이오로직스 공매도 물량 급증에 따른 사전 정보 유출 의혹에 대해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시장 전체적인 흐름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에만 일어난 것도 아니며 특별히 문제가 되는 사안이 있다고 판단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한우람 기자 / 진영태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