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공개된 서울페이는 다소 불편하다고 여겨지는 QR코드 방식을 채용했다. 카드리더기에 직접 인식되는 삼성페이형 MST 방식보다 거래 처리 속도와 오프라인 편의성이 떨어진다.
QR코드 방식은 플랫폼마다 차이는 있지만 평균적으로 결제까지 20초 이상 소요된다. 지갑에서 꺼내 꽂기만 하면 되는 신용카드 사용자 입장에서 편의성만 고려할 때 매력을 느낄 수단은 아니다. 그러나 서울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소득공제율 최고 수준(40%)이라는 무기를 꺼내 들었다. 소득공제율 40%를 적용하면 연봉 5000만원에 2500만원을 소비한 직장인은 연말정산으로 약 79만원을 환급받게 된다. 신용카드를 사용했을 때(약 31만원)보다 48만원 더 돌려받게 되는 셈이다.
여기에 현실화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는 의무수납제 폐지가 더해지면 서울페이의 힘은 더욱 강력해진다. 현재 정부가 구성한 카드수수료 태스크포스(TF)는 11월 수수료 재편 방안을 논의 중이다. 이 중 핵심으로 꼽히는 게 의무수납제 폐지다. 가맹점이 카드 받기를 거부할 수 있는 권리가 생긴다는 뜻이다. 이렇게 되면 이용자 의지와 상관없이 가맹점이 합법적으로 카드 대신 수수료가 0%인 서울페이로 결제해달라고 소비자들에게 요구할 수 있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신용카드사가 내세울 수 있는 마지막 카드는 연회비를 기반으로 한 제휴 혜택 강화다. 하지만 이마저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이미 지난 1년간 수수료 수술을 당해 제휴·마케팅을 확대하기에는 체력이 바닥났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8월부터 영세·중소 신용카드 가맹점 범위를 각각 2억원 이하에서 3억원 이하로, 2억~3억원에서 3억~5억원으로 확대했다. 적용 수수료율도 각각 1.3%에서 0.8%, 2%에서 1.3%로 낮췄다. 가계대출 총량 최고금리도 지난 2월부터 연 27.9%에서 24%로 인하했다. 실제 2분기 카드사 실적을 보면 바닥난 체력을 확인할 수 있다. 실적발표를 마친 은행계 카드사 순이익이 작년 동기 대비 40% 가까이 줄었다. 특히 1위 사업자인 신한카드는 순익이 무려 55%나 감소했다. 신한카드의 2분기 당기순이익은 2819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3493억원 쪼그라들었다. 신한카드는 충당금 환입과 사후정산금 등 일회성 손익을 제외하고도 순이익이 248억원 줄어든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2분기 기준 수수료 등 비이자수익이 1039억원으로 지난해보다 839억원 감소했다.
다른 은행계 카드사도 상황이 악화되기는 마찬가지다. 하나카드 2분기 실적은 516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순익이 31.20% 감소했다. 국민카드는 순익 1686억원을 기록해 표면상 9% 가까이 늘었으나 이는 일회성 외부 이익 덕이다. 올 상반기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서 지급이 유예됐던 국민행복기금 사후정산금을 받으면서 일회성 이익이 생겼다. 정산받은 370억원을 제외하면 겨우 적자를 면하는 수준이다.
올해 하반기에는 여건이 더욱 나빠질 전망이다. 오는 31일부터 가맹점 밴(VAN) 수수료가 정률제로 바뀌면서 소액결제 업종 평균 수수료율이 현재 2.22%에서 2.00%로 낮아지고, 수수료율 상한선도 2.5%에서 2.3%로 인하된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카드사에 새로운 사업 영
[오찬종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