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가와 고환율 등으로 경제여건이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중소기업 연체율이 치솟으면서 우리경제에 또 다른 복병으로 떠올랐습니다.
특히 중소 건설업과 음식·숙박업체의 경우 연체율이 위험수위에 다달아 무차별적 대출회수에 나설 경우 무더기 부도사태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강태화 기자.
네, 금융감독원입니다.
[앵커]
중소기업의 연체율이 계속 높아지고 있다고요?
[기자]
네, 고유가와 고환율로 경영여건이 어려워 지면서 중소기업들의 연체율이 치솟고 있습니다.
지난 5월말 현재 중소 제조업체와 비제조업체의 연체율은 각각 1.43%와 1.56%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말보다 각각 0.48%와 0.53%씩 높아진 수치인데요.
특히 중소 건설업체와 음식·숙박업종의 연체율은 위험수위에 다다랐습니다.
지난 5월말 현재 건설업 연체율은 2.26%. 작년 연말의 1.46%보다 무려 0.8%나 치솟았습니다.
비제조업체 평균인 1.56%보다 무려 0.7%P나 높은 수준입니다.
중소 음식·숙박업도 5월말 현재 연체율이 2.19%로 작년 연말에 비해서도 0.77%P 급등했습니다.
역시 비제조업 평균보다 0.63%P나 높습니다.
하반기 경기침체가 본격화되면 이들 업종 중소기업들의 연쇄도산도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유동성 증가로 인한 물가급등 우려에도 불구하고 최근 금융감독원장이 은행들의 무차별적인 대출회수 움직임에 제동을 걸고 나선 것도 이같은 배경입니다.
금융감독원은 다만 대출 부실화로 인한 은행의 건전성이 악화될 수
금융감독원은 하지만 권고외에는 구체적인 강제수단은 동원하지 않겠다는 방침이어서 실제 현장에서 얼마나 먹혀들지는 미지수입니다.
지금까지 금융감독원에서 mbn뉴스 강태화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