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후 역사를 개축하면서 근처에 공공주택 등 복합개발이 추진되는 금천구청역. [사진 제공 = 금천구] |
국토교통부는 금천구청역 복합개발을 위해 금천구,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27일 밝혔다.
서울 금천구 시흥동에 있는 금천구청역은 1981년 지어졌다. 그동안 시설 개선이 거의 이뤄지지 않아 이용자들 불편이 많았다. 근처에 지역 대표 아파트인 '롯데캐슬' 등이 잇따라 들어오면서 역을 오가는 사람은 늘어났지만 역과 주변 용지는 노후화가 심했다.
국토부는 내년 상반기까지 '금천구청역 복합개발 개발 구상 수립 용역'을 완료해 구체적 개발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복합개발로 현재 역사는 새로 리모델링하고 역사 앞 유휴용지에는 공공임대주택이 들어설 예정이다.
공공임대주택은 인근 가산동 등에 위치한 구로G밸리와 연계해 창업자나 금천구 대표 산업인 정보기술(IT) 계열 종사자에게 공급할 계획이다. 쇼핑시설 등 지역주민에게 필요한 시설도 들어선다.
금천구청역 개발이 주목받는 이유는 최근 들어 역세권 복합개발이 현 정부의 역점 사업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 등 전국 각지에서 오래된 철도나 지하철 역사를 보수하고 주변 지역을 복합개발하는 사업이 닻을 올리는 모습이다.
발단은 부동산 정책을 총괄하던 김수현 청와대 정책실장(당시 사회정책수석)이었다. 올해 8월 중순 김 실장은 예고 없이 충남 천안역과 동남구청 청사 복합개발 사업지를 찾아갔다.
천안 역세권 개발은 천안시의 대표적 구도심인 천안역 일대를 재생하는 사업이다. 이 지역은 2005년 천안시청이 외곽 신도심으로 이전한 후 쇠퇴 현상을 겪었다. 하지만 앞으로 21만㎡ 면적에 사업비 6531억원을 쏟아 복합환승센터를 만들고, 역세권 임대주택 등을 공급한다. 당초 한 시간가량만 둘러보려던 김 실장은 계획을 바꿔 세 시간 동안 머물렀다.
이후 금천구청역 복합개발이 탄력을 받은 모양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금천구청은 행정 사항을 지원하고 LH는 개발 구상 수립 용역을 발주한다. 코레일은 철도역사 현대화 사업을 추진한다. 각종 인허가 절차 이후 이르면 내년 하반기 착공할 예정이다.
박상우 LH 사장은 "협약을 계기로 LH와 금천구청, 코레일은 유기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하게 됐다"며 "금천구청역과 주변 지역을 포함한 마스터플랜을 수립해 체계적으로 도시계획을 정비함으로써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말했다.
'역세권 개발'은 최근 도시재생의 새로운 모델로 떠오르고 있다. 지금까지 도시재생 하면 '마을도서관 건립' '벽화 그리기' 등 주거지 분야에 초점을 맞췄던 정부 사고가 전환되고 있는 셈이다. 침체된 지역 경기를 살리고 쇠퇴한 구도심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한 해결책으로 노후 역사 리모델링과 주변 지역 정비가 각광받는다는 뜻이다.
실제로 정부가 지난해와 올해 선정한 도시재생 뉴딜사업 후보지 중엔 지방 역세권 개발 프로젝트가 다수 눈에 띈다. 지난해 뽑힌 68곳 후보지에 천안 역세권 개발 사업을 비롯해 수원역, 대전 신탄진역, 부산 구포역 재생사업 등이 들어갔다. 올해 선정된 99곳 후보지엔 전남 광주역과 전주역, 구미역, 정읍역 재생 프로젝트가 포함됐다.
특히 올해 뽑힌 역세권 재생 사업은 규모도 커졌다. 특히 전남 광주역 역사를 복합개발하고, 근처에 스타트업 밸리를 조성하는 '광주역 개발사업'은 모두 1조156억원에 이르는 사업비가 들어간다.
정부가 역세권 개발에 관심을 보이는 이유는 다른 재생사업보다 '파급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쇠퇴한 지방 산업 기능을 회복하고 일자리를 창출해 도시 경쟁력을 회복하는 데는 노후 역사와 역세권 재생이 필수이기 때문이다.
특히 철도역은 그동안 지방 도시의 '중심지' 역할을 했지만 신도심 개발 등
[손동우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