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시내 한 공사현장 모습(기사 내용과 연관 없음) [사진 = 강영국 기자]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지난 7월 4주간 67개 건설사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공공공사 수행시 공사기간이 부족했다고 대답한 기업은 36개 기업으로 조사됐다고 6일 밝혔다.
이 중 필요 정보를 제공한 32개 기업의 사업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공기 부족으로 인해 기업이 받는 가장 큰 부정적 영향은 공사비 및 간접비 증가(전체 32개 기업 중 26개, 복수응답)가 차지했다. 협력업체와의 갈등 발생(11개)과 안전사고 발생(6개)이 그 뒤를 이었다.
공공공사의 공기부족 발생 주요 원인들의 순위를 묻는 항목에서는 '착수시기와 무관한 정책성 사업의 고정된 준공 기한'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예산 확보 등 정책적 요인에 따른 사업 발주 지연', '체계적이지 못한 발주기관의 공기산정 방식' 이 각각 2위와 3위로 평가됐다.
그러나 발주자의 비체계적 공기산정을 지적한 건설사들 역시 입찰 당시 사업의 공사기간에 대한 적정성 여부를 면밀히 검토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기업의 19개 기업은 '전혀 검토하지 않는다'라고 응답했으며 '보통'이라고 평가한 기업까지 포함할 경우 46개 기업이 전혀 검토하지 않거나 간헐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입찰 당시 공기가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의 조치 사항에 대한 질문에서도 공사기간보다는 공사비의 적정성을 확인한 후 해당 사업의 입찰 여부를 결정한다는 기업이 27개로 나타나 조사 대상기업의 40.3%를 차지했다.
손태홍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대부분의 기업들이 입찰시 공고된 공사기간의 적절성을 충분히 검토하지 않거나, 공기부족이 예상되더라도 입찰에 참여하는 것은 경영활동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