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발표한 3기 신도시 및 광역교통대책에는 서울 시내 32곳 등을 개발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서울시는 관내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를 제외해 사수하는 동시에 도심 유휴부지와 국공유지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5만5000세대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국토부가 19일 공개한 '2차 수도권 주택공급 계획'에 따르면 서울 시내에서는 국가·시·군이 보유한 시내 유휴부지 등에 최대 2000세대 규모의 주택을 짓는 방안이 포함됐다. 기존 신도시와 달리 교통·생활 인프라가 갖춰진 곳인 데다가 일명 '노른자 땅'도 포함돼 서울 부동산 시장에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 [자료 = 국토부] |
5만3000㎡ 규모의 강남구 대치동 동부도로사업소 자리에는 2200세대의 대규모 공공주택이 들어선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울의료원 주차장 부지나 동부도로사업소 부지 등은 서울시의 기존 부지 활용 계획을 변경하면서까지 이번 공급 계획에 포함한 곳"이라며 "주택시장 안정과 공급 확대라는 큰 방향을 위해 많은 고심 끝에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또한 용산구 한강진역 주차장(450세대), 서대문구 연희동 유휴부지(300세대), 신촌동 주민센터(130세대), 영등포구 대방아파트(300세대), 강서구 강서아파트(600세대), 강서 군부지(1300세대), 강동구 천호3동 주민센터(100세대), 동작구 동작역 주차공원(500세대) 등 이른바 직주 근접(직장·주거 근접) 지역인 곳곳도 SH공사·LH공사를 통해 개발을 추진한다.
은평구 수색역세권(2170세대), 강서구 서남 물재생센터 유휴부지(2390세대), 동작구 환경지원센터 일대(1900세대)에도 대단지가 조성된다. 중랑구 북부간선도로는 입체화해 도로 상부에 1000세대 주택을 짓는 방안이 예정됐다.
서울시는 시내 소규모 택지의 경우 내년부터 곧바로 주택사업승인 등 절차를 밟으면 2020년쯤 공급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여기에 3년간 서울시 내 상업지역 주거 용적률을 400%에서 600%로 상향하고 준주거지역은 400%에서 500%로 높이는 대신 증가 용적률의 50%를 임대주택으로 공급하도록 하면, 그린벨트를 풀거나 추가 부지를 찾지 않고도 3만 세대가량을 공급할 수 있다고 예상한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 9월 21일 1차 주택공급 발표 당시 송파구 옛 성동구치소 부지(1300세대), 강남구 개포 재건마을(340세대) 외에 밝히지 않은 개발지역 8곳도 이날 추가 공개했다. 서초 염곡(1300세대), 도봉 창동(330세대), 송파 장지차고지(570세대), 강서 방화차고지(100세대), 강동구 강일차고지(760세대), 도봉구 성대야구장·노원구 광운역세권(4130세대), 광진구 구의유수지(300세대)가 대상지다.
이 외에도 2022년까지 총 8만세대를 공급해 주택시장 안정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박 시장은 "서울을 재창조해 나간다는 목표로 양적 공급 위주의 기존 주택공급 원칙을 바꿔 새로운 공공주택 모델을 만들어 나가겠다"며 "뉴욕, 도쿄처럼 도심 내 주택공급을 확대해 쇠퇴한 도심에 활력을 불어넣고 직주근접을 실현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앞으로 공공주택을 지을 땐 인프라를 함께 조성해 공공주택을 통해 지역을 활성화하겠다"며 "도로 상부 등 이전에 생각하지 못했던 곳에도 주택을 공급하고, 저이용 공공부지나 공공시설을 복합화하는 혁신을 시도하겠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새로 조성할 3기 신도시는 '교통지옥 신도시' 오명 벗을까 |
• 3기 신도시 남양주·하남·인천 계양…과천에도 중규모 택지 조성(종합) |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