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수도권 분양이 대폭 감소했다. 서울 경기도 인천을 포함하는 수도권은 분양 물량이 전년 동월 대비 27.5%나 쪼그라들었다.
반면 수도권 외 지역은 물량이 24% 증가했다. 결국 '규제의 칼날' 끝이 겨냥하는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분양시장이 급격하게 위축되고 있고,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지방에서는 오히려 분양 물량이 늘어난 것이다.
'새집' 수요가 많고 정부가 가격 안정화 목표를 세운 서울과 수도권 공급은 줄고, 미분양이 많은 지방은 분양이 많은 '아이러니'다. 7월에도 일단 4만7000여 가구가 분양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실제 분양은 계획에 크게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KB부동산 측은 예상했다.
9월에도 단일 아파트 단지로는 국내 최대 규모가 될 '둔촌주공'(1만2032가구) 분양 등 수도권 물량이 3만3053가구로 예정돼 있지만 이 단지 내부적으로 분양가상한제에 대비해 후분양을 할지 등에 대한 논의가 치열해 9월 분양이 어려울 가능성이 높다.
다만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도입을 예고해 분양시장은 올해 말까지 단기적인 호황을 누릴 수도 있다.
KB부동산 측은 "정부가 분양가상한제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데, 2008년 분양가상한제 도입 당시 전례를 보면 제도 적용을 피하기 위해 사업 속도를 높이며 단기에 물량이 집중된 바 있다"고 설명했다.
결국 이번에도 민간택지에 대한 분양가상한제 도입이 가시권에 들어오면 올해 중 분양 계획을 잡았던 단지들이 우르르 조기 분양에 나서 상한제 적용을 받지 않으려고 할 가능성도 있다는 얘기다.
그러나 중장기적으로는 재건축·재개발 사업이 지연되고, 이로 인해 분양 가뭄이 불가피하다는 것이 중론이다.
현재 입주 상황을 보면
[박인혜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