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B금융은 그동안 지방 금융그룹 특성상 디지털화가 대형 시중은행에 비해 더디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런 가운데 DGB금융 내부에서는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한 투자를 계기로 그룹 내 디지털 사업 확대의 초석을 다지겠다는 기대감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태오 DGB금융 회장(사진)은 올해를 'DGB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전환) 기반 구축 원년'으로 선포하는 등 디지털금융 개혁에 힘을 쏟고 있다.
DGB금융이 지난해 하이투자증권 인수 절차를 마무리해 자본 투입에 큰 걸림돌이 없다는 점도 투자 전망을 밝게 한다. 또 주력 계열사인 대구은행 영업망이 주로 대구·경북 지역에 몰려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전국구로 영업하는 인터넷은행이 지방은행과 경쟁하기보다는 협력·보완 관계가 될 것이라는 판단도 영향을 준 것으로 전해진다.
케이뱅크 측도 DGB금융이 증자에 참여하면 당장 은행 영업이 정상화되는 것은 물론이고, 향후 다른 주주로부터 추가 투자를 유치하는 것도 한층 수월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대해 케이뱅크 주주단 관계자는 "KT 대신 대주주로 나설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도 외부에서 찾기 어려운 상황이라 주요 주주를 대체할 금융 주력자가 필요하다"며 "경쟁사인 카카오뱅크를 빨리 따라잡고 추가로 시장에 들어올 신규 인터넷전문은행과 격차를 벌려놓기 위해서라도 필요한 조치"라고 말했다.
또 다른 변수는 DGB금융이 최대주주가 되는 과정에서 다른 주주 동의를 100% 이끌어낼 수 있을지다. 케이뱅크는 앞서 지난해 6월에도 대규모 증자에 실패한 뒤 DGB금융을 핵심 주주로 영입하는 방안을 논의했지만 일부 주주 반대로 계획이 좌절된 바 있다.
현재는 지난해와 달리 케이뱅크와 주주단 모두 궁지에 몰린 상황이라 다른 판단이 나올지 주목된다. DGB금융의 추가 지분 참여가 오히려 다른 주주들의 숨통을 틔울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만약 DGB금융이 직접 주주로 참여한다면 금융지주회사법상 케이뱅크를 자회사로 편입해 지분 50% 이상을 확보해야 한다. 또는 DGB금융이 자회사인 대구은행을 통해 투자한다면 은행법상 지분 한도는 15%가 된다. 금융지주 계열 은행이 다른 은행을 지배할 수 없다는 규정에 따라 금융당국 승인을 받으면 최대 30%까지 지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시나리오도 제기된다.
앞서 거론된 우리은행 주도의 3000억원 증자안도 이러한 구조를 따른 바 있다. 케이뱅크 지분 13.79%를 보유한 우리은행
[정주원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