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4대 강 정비 사업이 끝나면 강 주변은 시민들의 생활 터전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시민단체들은 대운하를 위한 전단계 사업이라며 거세게 반발했습니다.
윤석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쓸모없이 방치됐던 강 둔치에 공원이 조성되고, 시민들이 여가 생활을 즐깁니다.
강 사이에 덩그러니 놓여 있던 작은 섬들에는 각종 생활 편의 시설이 들어섭니다.
정부가 추진하는 4대 강 정비 사업이 끝나는 오는 2011년 이후 한강과 낙동강, 금강, 영산강 주변에서 보게 될 모습입니다.
정부는 그동안 사실상 버려지다시피 했던 하천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것이 이번 4대 강 정비 사업의 핵심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인터뷰 : 권진봉 / 국토부 건설수자원정책실장
- "여러 지자체에서 지역 숙원 사업으로써 하천을 종합적으로 정비해 달라는 적극적인 건의가 있었음을 말씀드립니다."
이 경우 홍수와 가뭄 대비,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등은 자연스럽게 이뤄질 거라는 설명도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정부의 이런 설명에도 불구하고 4대 강 정비 사업을 둘러싼 논란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핵심은 4대 강 정비 사업이 대운하 공사와 무엇이 다르냐 하는 부분입니다.
정부는 대운하 공사는 강바닥까지 깊게 파야 하고 또 갑문과 수로 공사가 필수인데 이번 사업에는 그런 공사가 없다며 대운하는 절대 아니라고 거듭 선을 그었습니다.
반면 시민단체들은 4대 강 정비 사업은 대운하의 전단계라며, 국민적 합의가 없는 무리한 사업 추진을 당장 중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 인터뷰 : 한숙영 / 환경운동연합 간사
- "하도 정비나 제방 정비에 배정된 4조 4천억이 한반도 수로를 만드는 것으로 볼 수 있고, 6조 5천억 원은 운하 용수 확보 사업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4대 강 정비 사업이 펼쳐지는 지자체는 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측면에서 일단 이번 사업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mbn뉴스 윤석정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