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보(Libor) 금리가 오는 2022년부터 산출이 중단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시장 수익률의 기준점이 되는 새로운 지표금리가 오는 6월 나온다. 콜금리와 환매조건부채권(RP) 등이 대안으로 거론된다.
20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금융위는 리보금리 산출중단에 대비하고 '무위험 지표금리'를 선정하기 위한 지표금리 개선 추진단 회의를 이날 개최했다. 손병두 금융위 부위원장 주재로 진행된 이날 회의에는 한국은행·금융감독원 등 감독기관과 은행연합회·금융투자협회·한국거래소·예탁결제원 등 금융업권, 금융연구원·자본시장연구원 등 연구기관 담당자들이 참석했다.
지난 2012년 리보금리 조작사건 이후 세계 각국이 대체 지표금리 개발에 나선 상황이다. 통상적으로 국가와 관계없이 금융상품 거래에 리보금리가 쓰이는 사례가 많았지만, 각국이 리보금리를 대신할 고유의 지표금리를 지정하는 것이 국제사회의 흐름이다.
이에 이날 추진단 회의에서는 새롭게 선정될 무위험 지표금리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무위험 지표금리란 시장 수익률의 기본이 되는 금리를 뜻한다. 금융상품 수익률은 지표금리에 일정 수준의 금리를 더하는 방식으로 산정되곤 한다.
현재 만기 1일의 콜금리 또는 익일물 RP금리 등이 국내 무위험지표 후보금리로 거론되는 상황이다. 금융위는 콜금리·RP금리에 대한 평가와 시장참가자 의견수렴 등을 거쳐 지표금리를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업권에 따라 이해관계가 엇갈리고 있어 업권·담보별로 금리를 세분화하는 방안도 검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추진단은 리보 금리가 2년 후 산출이 중단될 가능성이 큰 만큼 금융권의 대비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6월 기준 국내 리보금리 연계 금융상품 잔액은 1994조원으로 이 가운데 2022년 이후 만기가 도래하는 계약은 약 683조원에 달한다.
추진단은 리보금리를 활용한 신규 계약은 점진적으로 축소하도록 유도하는 한편, 만기가 남아있는 기존 리보금리 연동 파생상품은 국제스왑파생상품협회(ISDA)를 통해 일괄대응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리보금리 대응 태스크포스(TF)도 구성된다.
또 오는 11월 27일부터 시행되는 금융거래지표 관리에 관한 법률과 관련한 시행령안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손병두 부위원장은 "각국이 무위험지표금리를 지정해 파생상품 계약 등에 활용하고 있는 만큼, 금융거래에 있어 국제 흐름에 맞는 무위험지표금리 선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최승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