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 한국감정원] |
3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1월 기준 전국 월간 주택종합 매매가격은 0.28% 올랐다. 수도권(0.62%→0.39%)과 서울(0.86%→0.34%)은 상승폭이 줄어든 반면, 지방(0.16%→0.17%)은 상승폭이 커졌다.
서울은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12.16)' 영향으로 매수세가 급감하며 전체 25개 구 중 24개 구에서 상승폭이 줄었으며, 경기·인천은 지역별로 차이를 보이는 가운데 교통·정비사업 등 개발호재와 서울 출퇴근 수요 등으로 상승했으나 서울과 마찬가지로 상승폭은 축소됐다.
서울 강북권의 경우 마포구(0.41%)는 공덕·아현동 중심의 역세권 대단지 수요와 정비사업 진행 영향으로, 노원구(0.39%)는 개발 기대감 있는 월계동 광운대역 인근과 상계동의 일부 중저가 단지 위주로, 동대문구(0.32%)는 상승폭이 낮았던 구축 갭메우기 등으로 상승했으나 도봉구(상승폭 유지)를 제외한 모든 구에서 상승폭이 줄었다.
서울 강남은 11개 구 모두 상승폭이 축소된 가운데, 강남4구(강남(0.46%)·강동(0.43%)·송파(0.41%)·서초구(0.39%))는 상대적으로 가격대 낮은 외곽의 일부 단지 위주로 상승했으나 12.16대책 영향으로 재건축 단지 등 고가 위주로 급매물 출현하고 추가 하락 기대감으로 매수 관망세 확대되며 4개 구 모두 상승폭 크게 줄었다. 그 외 양천구(0.53%)는 목동신시가지 인근의 상대적으로 저렴한 단지 위주로, 동작구(0.45%)는 정비사업 진행(노량진·흑석동) 영향 등으로 상승했으나 주요 가격 선도 단지들의 상승세가 주춤해지며 상승폭이 줄었다.
5대광역시는 학군수요나 개발호재가 있는 지역 위주로 모두 상승했으나 상승폭이 줄었으며, 그 외 지방은 공급물량, 지역경기 등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제주·경북·강원은 하락하고 세종·전남 등은 상승했다.
전국 월간 주택종합 전세가격은 0.28% 상승했다. 수도권(0.37%→0.39%)과 서울(0.38%→0.43%), 지방(0.08%→0.17%) 모두 상승폭이 확대됐다.
서울(0.43%)은 교육제도 개편, 방학이사철 영향이 있는 학군지역과 직주근접 수요가 있는 역세권 위주로, 경기(0.39%)는 입주물량 감소와 이주수요(정비사업, 학군) 등이 맞물린 용인·수원시 위주로, 인천(0.30%)은 교통호재(GTX-B노선) 있는 송도동 신축 대단지 위주로 상승폭이 확대됐다.
서울 강북에서 마포구(0.32%)는 직주근접 수요가 있는 공덕·아현동 위주로, 노원구(0.30%)는 주요 학군지역인 중계·하계동 위주로, 성동구(0.28%)는 상왕십리·행당동 역세권 위주로 올랐다.
서울 강남에서 동남권은 강남(1.54%)·서초(0.92%)·송파구(0.80%), 서남권은 양천구(0.98%) 등 주요 학군지역 위주로 매물 품귀현상 보였으며, 동작(0.61%)·강서구(0.46%)는 직주접근이 양호한 역세권 단지 위주로 수요가 늘면서 상승폭을 키웠다.
지방에서 세종(2.88%)은 신규 입주물량 감소와 방학이사철 영향 등으로, 충남(0.14%)은 학군수요가 있는 천안 서북구(불당·백석동)와 입주물량이 감소한 아산시 위주로 상승폭 확대됐으나, 경북(-0.04%)·제주(-0.14%) 등은 지역경기 침체, 노후주택 수요 감소 등으로 하락했다.
전국 월간 주택종합 월세가격은 0.04% 상승했다. 수도권(0.07%→0.06%)은 상승폭이 축소된 반면 서울(0.09%→0.09%)은 상승폭을 유지했으며 지방(-0.01%→0.01%)은 하락에서 상승 전환했다.
한편 감정원 1월 기준 아파트와 연립주택, 단독주택을 다 포함한 주택 종합 중위가격
감정원이 집계한 서울 아파트 중위 가격은 1월 기준 처음으로 8억원을 돌파한 8억3920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주 KB국민은행 리브온은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이 지난달 기준 최초로 9억원을 돌파한 9억1216만원이라고 밝힌 바 있다.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