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열음(30)은 사색적인 피아니스트다. 그는 평소 치열하게 책을 읽고, 글을 쓴다. 텍스트에서 얻은 통찰은 곡에 대한 그만의 톡톡 튀는 해석으로 이어지고, 이는 타고난 천재적 테크닉, 음악성과 만나 찬란한 빛을 발한다.
5년 전 차이콥스키 국제 피아노콩쿠르에서 준우승하며 스타로 떠오른 그다. 이번에 ‘모던 타임스’라는 제목의 새 앨범과 동명의 리사이틀로 3년 만에 돌아온 그는 여전히 이 시대의 젊은 ‘르네상스맨’과 같은 인상이었다. 리사이틀을 열흘 앞둔 17일 그는 이태원 스트라디움에서 기자들과 만났다.
20세기 초반, 즉 제1차 세계대전 발발 무렵 작품들을 중심으로 공연을 구성한 이유에 대해 그는 “동경이 있었다”고 답했다.
“전 이 시대에 대해 굉장히 큰 동경을 갖고 있어요. 한국인으로서 저의 정체성과 깊은 연관이 있기도 하죠.” 일평생 ‘서양음악을 하는 동양인’으로 살아온 자신의 삶에서 늘 따라다닌 질문에 본격적으로 답해보고 싶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우리가 서양의 음악을 듣고, 서양의 문화를 받아들이기 시작한 시기가 바로 1910년대예요. 유럽이나 한국이나 이 시기를 기점으로 엄청난 세계화가 진행됐고, 패러다임이 바뀌었죠. 음악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는 특히 한국인인 동시에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서양 음악을 연주하는 ‘코스모폴리탄’적인 아티스트로서 이 시대 음악과 작곡가들에게 특별한 공감을 느꼈다고 강조했다.
이번에 집중적으로 탐구한 대상은 이 시기를 화려하게 수놓은 러시아 작곡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와 프랑스 작곡가 모리스 라벨이다. “스트라빈스키와 라벨은 가장 선진적인 코스모폴리탄이었어요. 여러 나라의 문화적 영향이 배어있죠. 이번 공연을 앞두고 이 둘을 정말 심각하게 좋아하게 됐어요.” 그는 웃으며 말했다.
그가 꼽는 이번 공연의 하이라이트는 라벨의 피아노곡 ‘쿠프랭의 무덤’과 스트라빈스키의 발레곡 ‘페트루슈카’다. 라벨이 1차 대전 참전 후 전사한 동료들을 기리며 쓴 ‘쿠프랭의 무덤’은 손열음이 20세기 초반 음악에 관심을 갖게 된 중요한 계기가 됐다. 그는 “2014년 1차대전 100주년을 기념하는 음악회에서 이 곡을 연주해달라는 요청이 왔어요. 라벨의 음악은 전쟁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가장 잘 보여주는 존재라 더욱 흥미를 갖게 됐죠.” 그가 이날 기자들 앞에서 선보인 ‘페트루슈카’ 2악장은 곡 특유의 기괴하고 강렬한 선율이 날카로운 해석과 어우러져 거대한 아우라를 뽐냈다.
에세이집을 내기도 했던 손열음은 “글쓰기는 제게 고행이예요. 하지만 성취감이 무엇보다 크죠. 클래식 음악의 추상적 부분을 보다 상세히 풀어낼 수 있는 점도 매력입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자신의 인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책으로 독일 문호 토
공연은 오는 27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1577-5266
[오신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