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가계의 자산구조는 지나치게 부동산에 쏠려있어 노후생활을 대비하는데 부적합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 박덕배 전문연구위원은 18일 '가계자산의 구조적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국내 가계는 총자산대비 금융자산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매우 낮아 노후생활의 유동성 문제가 예상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금융자산은 저축.투자.보험 상품이나 전월세보증금, 권리금 등을 의미한다. 그 밖의 비금융자산(실물자산)은 주택, 토지, 건물 및 상가 등 부동산과 귀금속, 그림 등을 포함한다.
2012년 말 현재 국내 가계의 금융자산은 2474조1000억원으로 총자산대비 34.3%를 차지했다. 이는 일본(60.2%), 미국(70.4%), 유로존(58.3%)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특히 고연령층일수록 그 비중이 뚜렷이 낮아 50세 이상의 경우 30% 이하에 머물렀다.
금융자산 중에서는 저수익성 안전 금융자산의 비중이 높다.
원금손실의 위험이 거의 없는 '현금과 예금', '보험 및 연금' 등 안전 금융자산의 비중이 72.4%를 차지했다. 요즘같은 초저금리 기조 하에선 자산수익률이 매우 낮아 노후자산을 모으기가 쉽지 않다.
사적연금의 비중이 낮은 것도 문제다.
국내 가계금융자산에서 사적연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2.1%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16.3%에 한참 못미친다. 공적연금의 소득대체율이 비교적 건실함에도 불구하고, 사적연금을 포함한 연금의 소득대체율도 OECD 평균보다 20%포인트 이상 낮다.
금융투자 자산에서 펀드 등을 통한 간접 투자상품의 비중도 낮다.
현재 금융투자자산에서 펀드가 차지하는 비중은 12.9%로 미국(22.8%), 일본(32.2%), 유로존(25.2%) 등에 비해 낮다. 금융투자자산 가운데 직접투자 비중이 크면 자칫 노후생활의 안정성을 위협받을 수 있다.
박 연
[이현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