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세포 안 자가포식 기능을 활용해 당뇨병 발병인자를 억제하는 방법을 찾았다.
이명식 삼성서울병원 교수와 강상욱 울산의대 교수 공동 연구팀은 아밀로이드 축적에 의한 당뇨병 발병을 억제하는 자가포식 기능을 규명했다고 23일 밝혔다.
성인들에게 나타나는 당뇨병의 90% 이상은 췌장 세포에 축적된 불용성 단백질인 아밀로이드가 발병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밀로이드의 축적 과정이나 이를 제거하는 방법은 알려진 바가 없었다.
이에 연구팀은 세포 내 손상된 분자나 세포소기관을 제거하는 '자가포식'이 아밀로이드의 축적을 억제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염두해두고 유전자 조작 생쥐를 이용해 실험을 수행했다.
그 결과 아밀로이드를 생산하는 유전자를 보유한 생쥐에서 자가포식을 억제했더니 당뇨병이 발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적된 아밀로이드를 자가포식으로 제거하지 못하면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 세포가 손상돼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한 것이다. 반면 이 생쥐에 자가포식을 활성화하는 '트레핼로스'라는 물질을 투여하자 아밀로이드 축적이 줄면서 당뇨 증상이 호전됐다.
이명식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자가포식 조절제가 당뇨병 치료제로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줬다"며 "당뇨병뿐 아니라 아밀로이드 축적
이번 연구성과는 기초·임상의학 분야 국제학술지 '임상연구저널(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온라인판 18일자에 실렸다.
[김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