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경제성장률 / 사진=MBN |
한국금융연구원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4.1%에서 3.9%로 0.2%포인트 낮췄습니다.
지난 5월 경제전망 때 금리 동결론을 주장했던 금융연은 경기회복에 도움이 되도록 기준금리를 내리고 금융중개지원대출을 완화해야 한다는 쪽으로 돌아섰습니다.
금융연은 6일 명동 은행연합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정부가 내놓은 41조원 규모 경기부양책이 성장률을 0.15%포인트 끌어올리고, 기준금리 인하·주택시장 정상화 대책이 0.05%포인트를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혔습니다.
박성욱 금융연 거시·국제금융연구실장은 "세월호 사고 여파로 상반기 경제 성장이 부진했으나, 하반기에는 새 경제팀의 확장적 거시경제 정책, 선진국 경기 회복 등에 힘입어 부진을 일부 만회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그러나 정책 효과를 제외한 성장률 전망치는 3.7% 수준으로, 회복 속도가 애초 예상보다 더딘 편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올해 성장률이 기대치에 못 미친 이유로는 미국의 1분기 마이너스 성장과 중국 경기 부진으로 수출이 완만하게 회복되고, 경제심리 위축으로 내수 회복 속도가 둔화한 점을 꼽았습니다.
금융연은 미국 등 선진국으로의 수출이 회복되고 정책 효과로 내수가 개선되면 하반기 성장률이 4.0%(전년 동기 대비)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올해 상반기 성장률은 3.7%였습니다.
금융연의 연간 성장률 전망치는 기획재정부(3.7%)와 한국은행(3.8%)보다 높은 수준입니다.
이에 박성욱 실장은 "전망치를 3.9%로 제시했지만 하방 위험이 크다"면서 "경제심리 위축도 예상보다 길어지고 있어 기준금리 등 통화정책을 추가 완화할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하반기 경기가 점차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기준금리를 대폭 인하할 필요성은 크지 않다고 박 실장은 평가했습니다.
한편 경상수지는 작년(799억달러)보다 75억달러 증가한 874억달러를 기록, 대규모 흑자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올해 원·달러 환율 평균은 1,040원으로 작년보다 5.3% 절상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정부 재정정책에 대해서는 경제 심리를 개선하는 데는 기여하겠지만 정책 효과 측면에서 불확실성이 크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는 직접적인 재정지출보다 자금지원 위주로 정책이 구성됐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박 실장은 "정부가 자금 지원을 확대하더라도 가계와 기업이 자금 이용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으면 의도한 효과를 충분히 거두지 못할 수 있다"면서 "경기 확장으로 자금 수요가 많아지면 기업·가계부채가 확대될 수 있으므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