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회차에서 산업단지의 태동과 준비과정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봤다. 이번에는 논공공업단지와 대덕연구단지의 탄생배경과 이 단지들의 현재모습을 진단해 본다.
지난 1974년 정부가 경남 창원, 경북 여천·구미, 울산 온산 등지에 산업기지를 지정하고 개발이 본격화되는 듯 했다. 하지만 자금문제가 불거지면서 한국토지공사(현 LH)는 택지개발 이익을 다른 지역에 투자하는 이른바 ‘교차보조 방식’으로 사업을 선회해 진행한다.
논공공업단지 추진이 목적이었던 現 달성 제1차 일반산업단지
4공화국 당시 정부의 부동산 정책의 최우선 목표는 ‘지가안정’과 ‘도시지역 주택난 해소’였다. 때문에 공업단지의 비중은 미미할 수밖에 없었다. 실제로 1979년부터 1982년까지 공업용지 취득비용이 전체사업비에 차지하는 비중은 2.4%에 불과했다.
또한 1979년 터진 제2차 석유파동에 따른 수출부진과 1980년대 초 정국불안의 영향으로 공업용지의 수요예측은 불가능에 가까웠다. 전망도 불투명해 공업단지개발은 그야말로 ‘그림의 떡’이었던 시기였다.
이런 상황에 착수한 사업지구가 바로 논공단지(현재 달성 제1차 일반산업단지)다.
논공지구는 정부가 공업단지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대단위 사업지구를 물색하던 중 경상북도의 적극적인 요청에 따라 각 관련 중앙정부 부처들의 동의와 호응을 얻어 시작됐다.
논공공단은 당시 각종 택지, 산업단지를 통틀어 가장 큰 규모(총 면적 410만㎡)의 개발사업이었다. 1976년에 달성군 논공읍 본리와 1·2리 마을 뒷산 중턱에 구마고속도로(왕복 2차)가 뚫리면서 1979년 3월 지방공단(당시 ‘지방공업개발 장려지구’로 명명)으로 지정됐다.
시행 초기 보상업무의 경험이나 지식이 부족한 시행기관은 원활한 민원해소를 위해 직접취득이 아닌 사업지구 관할 지자체에 보상업무를 위탁하는 위탁취득의 방법을 택했다.
1979년 5월 사업시행 기관과 경상북도가 사업시행 협약을 맺으면서 본격적인 첫 삽을 떴다. 경상북도 달성군이 보상업무를 맡아 1979년 말까지 전체면적의 99%인 410만 3000㎡를 협의 매수했다.
일 년 뒤인 1980년 5월 공사에 착공했다. 1982년 8월 1단계, 1987년 8월 2단계 부지조성공사를 완공했다. 공단 입주업체 종업원을 위한 배후 주거단지 및 이주 정착지 조성을 목적으로 ‘논공지역 토지개발(주거용지조성) 55만㎡를 조성해 직주근접체제를 마련했다.
또 하수종말처리장 부지 3만 8000㎡도 제공해 환경청 주관 하에 시설공사를 실시했다.
분양가격 산정 당시 하수종말처리장 설치비를 분양가격에 가산하느냐 여부를 두고 논란이 있었지만 경상북도 및 관계기관은 협의 끝에 분양가격에 가산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고, 입주업체가 입주 후 부담하는 조건으로 분양을 시작했다. 하수종말처리장 부지는 사업시행자가 확보하고 설치비는 국가가 부담하기로 했다.
사업초기 공장용지 공급은 1980년대 초 경기침체의 여파로 매우 부진했다. 이후 섬유, 조립금속 위주의 입주업체 323개, 공용인원 1만 3700명, 연간 생산액 4조원의 산업단지로 자리 잡았다.
이후 인근 구지면에 달성2차 일반산업단지를 공급, 분양에 성공한다. 이어 현풍면 일대에 대구의 테크노폴리스 일반산업단지가 2007년부터 사업시행 중이다. 테크노폴리스가 완성되면 논공-현풍-구지로 이어지는 산업벨트가 형성, 대구 동남권 산업발전의 중심이 될 전망이다.
국내에서 두 번째로 조성된 연구단지 ‘대덕연구단지’
논공공업단지에 이은 두 번째 대규모 산업단지는 대덕연구단지다.
대덕연구단지는 과학기술처 발족 직후인 1968년 ‘과학기술개발 장기종합계획’에 따라 작성된 ‘연구·교육단지 건설을 위한 마스터플랜’ 연구보고서가 1971년 7월 보고되면서 기본골격이 구상됐다.
↑ [대덕연구개발특구 전경. 사진출처 매경DB] |
당시 1인당 국민총생산(GNP)는 500달러 안팎이라 ‘연구·학원도시’는 낯선 용어만큼이나 구상의 내용도 생소할 수밖에 없던 시절이었다. 관련 정보가 턱없이 부족했던 정부는 일본의 쯔꾸바 연구학원도시와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 과학도시를 벤치마킹하기로 한다.
‘과학입국’의 명제아래 1973년 1월 대통령의 지시로 ‘제2연구단지 건설기본계획’이 확정됐다. 같은 해 5월 청와대 주관 제2연구단지(제1 연구단지는 서울 홍릉 소재) 건설계획 보고에서 3개 예비 후보지역(경기화성, 충북청원, 충남대덕) 3개 중 충남 대덕군이 결정됐다.
같은 해 11월에 대덕군 유성읍, 탄동면, 구즉면 일대 2760만㎡ 규모의 교육 및 연구단지를 결정 고시했다. 12월에는 과학기술처 주관으로 연구단지 건설기본계획을 수립했고, 이 후 1974년 하반기부터 1980년대 초까지 한국표준연구소, 한국화학 연구소 등의 건설사업이 순차적으로 시작됐다.
건설추진 방식은 국가가 기반시설을 조성하고 해당 연구소가 자체연구소를 건설하는 자체개발 방식이었다. 1980년 초에 들어 입주기관이 증가함에 따라 토지매입과 보상, 부지조성과정 등 자체개발 방식의 문제점이 제기되기도 했다.
과학기술처는 1984년 4월 27일 제1회 기술진흥확대회의에서 한국토지개발공사가 토지를 우선 매입해 개발한 후 분양하는 공영개발방식의 전면도입을 제안해 이를 의결함으로써 대덕연구단지 건설추진방안이 새롭게 정립됐다.
1985년 5월 6일 착공해 1991년 3월 336만 7727㎡를 준공했다. 전민, 문지, 도룡, 화암, 신성동 일원인 2단계 사업 382만 755㎡는 1987년 5월 착공해 1992년 11월에 준공했다.
또한 1989년 2월 대전 엑스포 개최지로 유성구 도룡동이 확정됨에 따라 3단계 사업 87만 970㎡를 추가 개발했다. 오늘날의 대덕연구단지가 ‘과학기술의 메카’로 도약하는 토대를 마련했다.
현재 대덕연구단지는 한국전자통신연구소 등 정부출연 연구기관과 민간 연구소, 한국과학기술대학(KAI
[자문 JNK 개발원 정인택 원장 / 정리 이미연 기자]
[참고] 정인택 원장은 現 JNK 개발원 원장으로 사단법인 도시경영 포럼 부회장과 前 서울시 도시정비과, 한국토지공사 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도시개발, 마케팅, 인력개발 등에 대한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