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짜 논쟁’으로 시장에 큰 충격을 준 백수오와 백수오 ‘짝퉁’으로 쓰인 이엽우피소는 사실상 맨눈으론 식별이 불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27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은 충북 농업기술원 보고를 바탕으로 RAPD(임의로 증폭된 다형성 DNA 분석) 등 전문 분석법을 활용해야 백수오와 이엽우피소를 구분할 수 있다고 전했다.
‘백수오, 이엽우피소, 박주가리 및 하수오의 형태적 형질 비교’ 연구결과는 지난해 한국약용작물학회지에 소개된 바 있다.
연구팀은 “국내 대한약전(생약) 규격집에 따르면 은조롱의 뿌리만을 백수오로 인정하고 있다”면서 “반면 중국의 중약대사전·중약지엔 은조롱(격산우피소) 외 이엽우피소와 대근우피소 뿌리도 백수오에 포함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은조롱은 한반도 자생 식물이긴 하지만 생산성이 낮아 국내 농가가 재배를 꺼려왔다. 1990년대 초반 재배기간이 짧고(1∼2년) 생산성이 높은 이엽우피소가 중국에서 들어오면서 대부분의 농가에서 은조롱 대신 이엽우피소를 심었다.
이엽우피소의 원산지는 중국으로 산동중약(山東中藥)이란 중국 의약서에 첫 등장한 직물이다.
국내에서 백수오는 하수오(何首烏) 또는 백하수오(白何首烏)란 명칭으로도 판매된다. 조선 철학자 이제마는 저서 ‘동의수세보원’에서 적(赤)하수오를 하수오로, 백(白)하수오를 백수오로 분류했다.
이에따라 학계에선 소비자 혼동을 막고 유전자원 주권을 지키기 위해 중국 명칭인 백수오 대신 백하수오로 개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국내 서적에 근거하면 백수오와 하수오는 완전히 별개의 식물이기 때문. 두 식물은 유효 성분 역시 다르다.
연구팀에 따르면 백수오와 이엽우피소, 하수오는 꽃의 색깔로 구분이 가능하다. 백수오 꽃은 황록색, 이엽우피소 꽃은 황백색, 하수오 꽃은 흰색이다.
하지만 백수오 등을 구입하는 소비자는 뿌리를 구입하기 때문에 꽃색을 확인할 수 없다.
다만 고구마 모양인 하수오만 감별이 가능하다.
백수오는 대개 갱년기 증후군 완화에 사용되지만 하수오는 탈모나 흰머리 개선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엔 하수오가 “정수를 채우고 털과 머리카락을 검게 하며 안색을 좋게 하고 늙지 않게 하며 명을 연장시킨다”고 기록돼 있다. 하수오란 명칭 역시 하씨 성을 가진 사람이 해당 약초를 먹고 머리카락이 까마귀 머리처럼 까맣게 됐다는 중국의 고사에서 유래했다.
연구팀은 “백수오와 이엽우피소는 뿌리 상태에선 소비자는 물론 전문가도 육안 구분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이엽우피소의 뿌리가 은조롱(백수오)의 뿌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고 굵은 편이지만 두 뿌리가 섞여 있으면 일반인 식별은 힘들다”고 덧붙였다.
내츄럴엔도텍은 이날 종합 일간지 5곳 등에 전면광고를 내고 “내츄럴엔도텍은 100% 진품 백수
반면 소비자원은 내츄럴엔도텍에서 수거한 시료에서 유전자검사법 등 공인된 검사방식을 통해 이엽우피소가 검출됐다며 내츄럴엔도텍이 가짜 백수오 성분을 사용했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아 논란은 쉽게 사그라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매경닷컴 배윤경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