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미래 거대시장의 주요 축으로 부상하고 있는 무인기(드론)와 자율주행차의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본격적인 지원에 나선다.
미래창조과학부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29일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무인이동체·엔지니어링 산업 발전전략 보고회’를 개최했다.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등 관계부처 장관과 산학연 등 각계 인사 150명이 참여한 이날 자문회의에서는 엔지니어링 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방안이 제시됐다. 최근 신산업으로 부각되는 무인이동체 산업의 기술개발과 산업성장 전략도 발표됐다.
미래부에 따르면 드론과 자율주행 자동차 등 세계 무인이동체 시장 규모는 올해 251억달러(약 27조8000억원)로 추정된다. 이후 연평균 20%씩 성장을 거듭해 2025년에는 1537억달러(약 170조원)로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미국 가전협회 CEA는 소형드론의 소비자 판매가 2014년 25만대에서 2018년에는 100만대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문제는 국내 시장의 경우 자율주행차의 주요 부품 경쟁력이 글로벌 선두업체와 격차가 벌어져 있는데다 중소 부품업체도 수요처와 기술이 특정 대기업에 종속돼있어 경쟁이 제한되고 기술적 자립도도 낮다는데 있다. 소형 드론의 경우 가격에선 중국에, 기술력에선 선진국에 밀린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미래부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장수요가 높은 전략제품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를 대비한 선도기술 확보와 더불어 제도·인프라 확충, 범정부 협력체계 구축 등에 나서기로 했다.
‘전략제품 시장경쟁력 강화’를 위해 ▲무인기 시장 성장 동력 확충 ▲자율주행 자동차 글로벌 경쟁력 강화 ▲무인 농업·해양건설 산업화 촉진 등에 나설 예정이다.
무인기의 경우 중국과 선진국에 끼인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부품선도기업(모터, 배터리, 카메라 등)과 출연연(최적 설계·알고리즘 등)의 기술역량을 집중해 2~3년 내 선진국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공공서비스 및 군용수요 등을 활용해 초기시장 창출을 지원한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미래부는 2012년 선도적인 기술개발에 성공했지만 시장진출이 지연되고 있는 ‘고속 수직이착륙 무인기(틸트로터)’의 실용화를 추진해 내년부터 원양어군 탐지와 군 수요 등에 기반한 실용화 단계에 들어간다. 민·군 기술협력을 통해 민·군 겸용 무인기 기술의 실용화도 촉진할 예정이다.
150kg 이하인 소형 ‘무인비행장치’의 안전체계 강화와 활용범위의 단계적 확대가 추진되고, 150kg 이상인 ‘무인항공기’는 국제표준에 맞게 국내 제도를 마련하기로 했다.
자율주행 자동차는 수입의존도가 높은 자율주행 10대 핵심부품(레이더, 영상센서, 통신모듈 등)의 글로벌 수준 기술력 확보를 위해 중소·중견 부품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다수 수요 대기업의 참여를 통해 수평분업형 생태계 조성을 유도한다.
경쟁력 제고를 위해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인지·판단기능에 사용되는 10대 핵심부품의 기술 개발에 나설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자율주행차의 시범 주행을 위해 올해부터 2018년까지 서울요금소(TG)~신갈분기점(JC)~호법분기점(JC)의 구간을 ‘시범도로 테스트베드’로 구축하고 2020년부터는 전국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경기 화성에 있는 자동차안전연구원 ITS 시험로에는 완전 자율주행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도로와 시가지 상황을 반영한 실험도시(K-City)도 조성된다.
이날 함께 보고된 엔지니어링 산업발전 방향으로는 그간 주력 기간산업이었던 엔지니어링 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정
[이영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