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폐로가 결정된 고리 원자력발전 1호기를 해체하는 데 쓰이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정부가 1500억원대의 예산을 투입한다. 원전을 해체하는 데 필요한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2021년까지 해체기술을 만들겠다는 것인데, 원전 해체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포석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1500억원을 투입해 원전 해체기술 개발을 2021년까지 완료하기로 결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정부의 이같은 결정은 원전을 해체하는 기술 시장이 향후 발전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전세계에 가동을 정지한 원전은 150개가 있지만 해체가 완료된 원전은 19개이기 때문이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도 상업용 원전 해체시장이 2050년까지 약 1846억달러(약 200조원)으로 추산한 바 있다. 정부 관계자는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건설됐던 원전의 해체시점이 다가오면서 2030년대부터 해체시장이 가시화될 가능성이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2012년부터 정부는 원전해체 기술을 개발하기로 하고 38개 핵심기술을 개발해오고 있다. 산업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은 해체와 제염 분야 13개 상용기술을 개발해 왔다. 정부는 원전 해체에 통상 15년 이상이 소요되고 본격적인 해체 작업에 돌입하기 전 최소 5∼6년의 사용후 핵연료 냉각시
산업부 산하 에너지위원회는 2년 뒤인 2017년 6월 가동 시한이 만료되는 고리 1호기의 영구정지를 권고하기로 지난 12일 결정한 바 있다. 한수원은 이같은 권고를 받아들여 가동 연장(계속운전) 신청을 하지 않았다.
[김유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