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적으로 폭염과 가뭄, 홍수 등 이상기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이상기변의 원인으로 엘니뇨가 지목받고 있다.
스페인어로 아기 예수를 의미하는 엘니뇨(El Nino)는 적도 태평양에서 무역풍(동풍)이 약해지면서 적도 동(東) 태평양의 바닷물이 비정상적으로 뜨거워지는 현상을 말한다. 기상학적으로는 열대 태평양 엘니뇨 감시 구역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0.4도 이상 높고 같은 고수온 현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될 때 그 첫 달부터를 ‘엘니뇨의 시작’이라고 본다.
열대 태평양 엘니뇨 감시 구역은 태평양의 파푸아뉴기니 동쪽 바다부터 남미의 에콰도르, 콜롬비아의 서쪽 바다 사이에 위치한 태평양의 일부 구역으로 북위 5도~남위 5도, 서경 120~170도 사이 해역을 의미한다. 이 지역 수온 변화 정도를 기준으로 엘니뇨 발생을 판단하게 된다. 이 지역 온도는 지난 3월 평년 대비 0.5도 높았다가 5월에 1도를 넘어서 같은달 말에는 1.4도 높은 온도를 기록했다. 최근엔 2도 가까운 상승폭을 보여 과학계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급격한 해수 온도 변화는 대기의 변화로 이어져 기상이변을 야기한다. 가령 라면을 먹기 위해 물을 끓이는 것을 생각해 보자. 냄비 속 물 500㏄를 끓이는데도 많은 열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면적 1억 6524만 6000㎢. 동서길만 약 1만 6000㎞. 평균수심 4282m 규모 태평양이 데워진다면 도대체 어느 정도 열이 투입돼야 할까. 해수 전체 온도가 2도 상승했다는 것은 그만큼 많은 양의 열이 바닷속에 쌓여있단 것을 의미한다.
열은 한 곳에 머무르지 않고 주변으로 퍼져나가는데 열이 이동하면서 바닷물 순환과 대기흐름을 뒤바꿔 놓는다. 평소와 다른 기상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다. 올해 인도, 호주, 인도네시아 등에서는 폭염과 기록적 가뭄, 산불이 이어졌다. 미국 캘리포니아에선 1년 중 가장 건조한 시기라는 7월에 폭우가 쏟아져 비 피해를 입었다. 한국은 올 여름 엘니뇨로 인한 직접적 큰 피해는 없었다. 엘니뇨 연구자인 포스텍 환경공학부 국종성 교수는 “태풍 등 다른 영향으로 인해 올해 여름엔 엘니뇨 효과가 다소 상쇄됐다”고 말했다.
엘니뇨는 지구온난화로 가속화하고 있다. 올해 더웠다고 하지만 내년엔 더 뜨거운 여름을 대비해야 수도 있다. 국 교수는 “역사적으로 지구 온도가 제일 높았던 때는 엘니뇨 발생 다음해였다”며 “지속되는 온난화와 엘니뇨 현상이 맞물리면서 2016년엔 전세계적으로 역대 가장 더웠던 더위 기록이 깨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올해 발생한 엘니뇨는 역대 가장 강력했던 1997~1998년 엘니뇨에 이어 두번째로 강도가 세다”며 “엘니뇨 감시구역의 온도가 1.5도 이상 올라가면 강한 엘니뇨로 부르고 2.5도 이상 올라가면 슈퍼 엘니뇨라고 하는데 이미 2도 가까운 수온 상승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온난화와 엘니뇨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지난해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에는 온난화로 해수 온도가 올라가면 강한 엘니뇨 발생 가능성도 크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국 교수는 “엘니뇨 영향으로 9월에 접어들면서 기온이 조금 낮아지고 강수량도 줄어들어 가뭄이 심해질 수 있다”며 “봄까지는 심한 가뭄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올해 여름은 강수량이 평년 대비 절반 수준에 그치며 ‘마른 장마’를 기록했다. 여름부터 이어진 가뭄이 가을을 지나 내년 봄까지 이어진다는 것이다. 국 교수는 “엘니뇨가 소멸되는 내년 여름 이후에나 강수량이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엘니뇨는 초강력 슈퍼태풍도 발생시킨다. 국 교수는 “엘니뇨로 인해 태풍 발생 위치가 기존 서태평양 지역에서 동쪽으로 이동하고 있다”며 “태풍이 따뜻한 바다를 이동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그 강도가
[이영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