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된 전력을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사용하는 에너지저장장치 ESS 시장이 5년 뒤 최대 58조 원 규모로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전하진(성남 분당을) 의원이 세계적인 컨설팅 서비스 회사 '네비건트 리서치'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ESS 시장 규모는 불과 5년 뒤인 2020년까지 평균 40조 원, 최대 58조 원으로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주요 선진국들은 앞다퉈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대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지만, 우리 해당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는 사실상 뒷짐만 지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미국은 2010년 이미 ESS 설치 의무화 법안을 제정하고 500W~1MWh 가정·중대형 ESS 설치 때 투자세액의 30%를 감면하고 있다고 전 의원은 소개했습니다.
독일의 경우 LG화학, 삼성SDI 등과 함께 자국 최대 규모인 10.8MWh 사업을 구축하고, 2020년까지 마이크로그리드의 비중을 총 전력 생산량 대비 25%까지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고 전했습니다.
또 일본은 2011년 이미 자가발전량이 전체 발전량의 22.6%에 이르렀다고 설명했습니다.
전하진 의원은 "산업통상자원부는 여전히 대형발전이 효율적이라는 인식에 매몰돼 소규모 발전의 중요성을 실감하지 못하고 있다"며 "대형발전소를 통해 만들어진 전력을 송전하기 위해 송변전과 송전탑을 설치·유지하는데 드는 비용만도 지난 10년간 27조 원에 달했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소규모 발전이 보편화할 경우 송·변전 회피비용 등 매년 3조 원의 비용을 감축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아울러 "대형컴퓨터가 퍼스널컴퓨터로 바뀌었듯이
전 의원은 "모든 시스템을 이런 에너지 혁명 환경에 맞춰 발 빠르게 대처한다면 우리는 새로운 일자리, 새로운 기회를 맞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박호근 기자 / rootpark@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