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후인 2020년대에는 프로비스(Provice) 패러다임이 우리 경제와 산업계를 끌어가게 될 것입니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가 24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 상의회관에서 개최한 제5회 대한상의 경영콘서트에서 김지현 카이스트 정보미디어 경영대학원 겸직교수는 산업계의 새 패러다임으로 ‘프로비스’를 제시했다.
프로비스란 제품(Product)과 서비스(Service)의 합성어로 ‘서비스를 품은 제조’를 뜻한다.
김 교수는 이날 ‘사물 인터넷 패러다임, 제조와 서비스의 혁신’에 대한 주제 발표를 통해 “프로비스 패러다임에서는 모든 기업이 사용자의 24시간을 차지하기 위해 산업간 경계를 허물고 하드웨어·소프트웨어·네트워크를 별개의 영역이 아니라 해체와 재통합하는 새로운 영역에서 무한경쟁을 펼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교수는 프로비스의 실례로 미국 아마존과 국내 기업 뉴런 도어락을 들었다.
아마존이 출시한 대시(Dash)라는 막대기 모양의 디바이스는 과자·세제·생수 등 제품 포장에 찍힌 바코드를 찍으면 해당 상품을 아마존 장바구니에 넣어준다.
뉴런 도어락은 인터넷 자물쇠로 집 앞에 방문한 사람이 누구인지 촬영해 집주인의 스마트폰으로 전송, 원격으로 문을 여닫을 수 있게 한다.
김 교수는 “기존 1등 기업들이 프로비스 패러다임에서 생존하려면 과거의 성공 공식에만 매달려서는 안될 것”이라며 “기술 발전 속도가 상상을 뛰어넘을 만큼 빠른 시대에는 완벽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만 골몰할 게 아니라 유연한 전략을 세우고 재빠르게 실행한 후 철저히 검증하는 시스템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2020년 사물인터넷(IoT)에 연결되는 디바이스가 260억개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조광수 연세대 정보대학원 교수는 “2020년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지구상 인터넷 가입자 수로 나눌 경우 1인당 10여개, 한 가구당 40개의 디바이스에 달하는 만큼 모든 산업과 사회 각 분야에서 사물인터넷이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조 교수는 그러나 산업계의 기대와 달리 사물인터넷이 소비자의 큰 관심을 받지 못할 수도 있다는 비판적 견해도 내보였다.
수많은 기기간 연결을 기반으로 한 사물인터넷 서비스가 사용자가 이해하기에는 지나치게 복잡하고 어렵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는 “실생활에서 고급 디자인의
[매경닷컴 방영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