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통계청 |
고령화·가계부채로 불안한 가계는 좀처럼 지갑을 열지 않고 있다. 개별소비세 인하·대형 할인행사 등으로 9월 이후 소비가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나오지만, 개별소비세 인하나 대형 할인행사 등 일시적인 요인에 따른 것이라는 평가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9월 소비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 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0.6% 오르는 데에 그쳤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지난해 12월 0.8%를 기록한 뒤 10개월 연속 0%에 머무른 것이다.
농산물·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2.1% 상승하면서 9개월간 2%대로 조사됐다.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0.2% 하락했고, 농산물 작황 호조로 신선식품지수는 0.7% 오르는 데 그쳤다.
김재훈 기획재정부 과장은 “석유류 가격이 18.8% 하락하면서 9월 소비자물가도 0.95%포인트 하락하는 효과가 나타났다”며 “저유가를 비롯한 공급측 요인이 물가흐름을 주도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올해 초 유가하락에 따른 저물가 기조가 민간소비를 확대할 수 있다는 판단에 공공요금을 인하하는 등 정책역량을 집중했던 바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유가하락이 0.3~0.7%포인트씩 성장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고, 한국개발연구원(KDI) 또한 유가가 연평균 배럴당 49달러를 유지하면 경제성장률을 0.2%포인트 끌어올릴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던 데 따른 것이다.
하지만 저물가의 경제적효과는 여전히 나타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같은 날 통계청이 발표한 ‘8월 소매판매 및 온라인쇼핑동향’을 보면 8월 소매판매는 전년대비 0.3% 증가하는 데에 그쳤다. 소매판매 증가율은 5월 1.8%를 기록했지만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의 직격탄을 맞은 6월 -0.6%로 감소세를 보인데 이어 7월에도 0.7%로 미약한 수준을 보였다.
특히 8월에는 가계가 주로 소비하는 화장품(-8.6%), 신발·가방(-6.9%), 서적·문구(-5.2%), 옷(-2.8%) 등의 품목이 줄줄이 전년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고령화와 가계부채 증가 등으로 가계가 여전히 불안감에 빠져있다는 의미다.
정부의 적극적인 내수진작 정책과 ‘명절효과’ 등을 감안하면 9월 이후 소매판매가 상승세로 전환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지만, 저물가의 효과라기보다는 개별소비세 인하나 ‘코리아 그랜드세일’ 등 일시적인 요인에 따른 것이어서 중장기적인 대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연말로 갈수록 석유류 가격하락의 기저효과가
[최승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