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은 올 2분기(4~6월)에만 3조원대의 부실을 드러내고 3분기에도 1조3000억원대의 당기순손실을 이미 재무제표에 반영했으나 올해 최대 손실은 5조원대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대우조선의 대주주이자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29일 정상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지난 7월부터 3개월간 진행한 실사 결과도 함께 공개했다.
실사 결과 대우조선은 올해 하반기 이후 영업외손실을 포함해 최대 3조원의 잠재적인 추가 손실이 발생할 요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올해 총 영업손실은 5조3000억원대에 달할 수 있다는 게 산은의 전망이다.
이렇게 부실이 계속 쌓이는 것은 해양플랜트 공정의 추가 지연과 원가 증가, 드릴쉽 건조계약 취소 등으로 장부에 제때 반영되지 않은 잠재 손실이 많기 때문이다.
설상가상으로 저유가 상황으로 선주사의 수익성이 악화돼 인도가 지연되는 것도 손실을 키우는 악재다. 선박 건조 과정에서 증가하는 원가와 비용을 선주사에서 보전받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서 발생하는 추가 손실이 2조 원가량으로 추정된다. 또 대우망갈리아와 드윈드, 해운 자회사 등 해외 사업장에서의 실패도 1조원 수준의 손실을 드러낼 잠재 요인으로 파악됐다.
수익은 내지 못하고 손실만 눈덩이처럼 커지다보니 유동성 경색은 계속 이어질 수밖에 없다. 실사 결과에 따르면 대우조선은 당장 11월 초부터 협력업체와 기자재업체에 대금 지급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대우조선의 부족자금은 올해 1조8000억원에 이르고, 내년 5월에는 4조2000억원으로 최대치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대우조선은 올해 부채비율이 4000%를 상회할 정도로 재무상태도 악화될 것으로 산은은 내다보고 있다.
이런 부실은 결국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중심이 돼 4조2000억원에 달하는 막대한 규모의 유동성을 지원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양대 국책은행의 지원은 결국 국민의 세 부담으로 귀착된다. 산업은행은 대우조선이 도산에 이른다면 채권단이 막대한 손실을 볼 수밖에 없고, 대규모 고용과 협력업체를 유지 중이라 국가경제에 미치는 악영향도 크기 때문에 국책금융기관이 주도해 정상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산업은행은 올해 앞으로의 손실 요인을 반영한 만큼 내년부터는 ‘실적 턴어라운드’에 이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산업은행은 내년 대우조선이 4652억원의 영업이익을 낼 수 있다고 예상했다. 다만 내년 실적에 공사손실충당금 환입분인 4401억원을 반영하면 예상
2017년이 되면 영업이익이 1251억원으로 커지고, 2018년 5727억원, 2019년 5453억원의 영업이익을 내 정상화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 4조원이 넘는 유동성을 다른 채권은행들과 함께 공급해야 하는 산업은행이 내다보는 대우조선의 ‘장밋빛 미래’다.
[매경닷컴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