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현행 인허가 규제 체계를 기존 포지티브(원칙적 금지, 예외적 허용) 방식에서 네거티브(예외적 금지, 원칙적허용)으로 바꾸기만 해도 신규 기업 3001개가 생겨나고 1만5945명 신규 고용이 창출된다.”
산업연구원은 최근 ▲액화석유가스 판매사업 등 에너지 분야, ▲의료기기 제조 및 수입 등 의료 분야, ▲위치정보사업 관련 방송통신 분야 등 정부 인허가 규제 40건을 분석한 보고서를 공개했다.
정부 인허가 대상인 이들 업종에서 인허가제도를 기존 포지티브 방식에서 네거티브 방식으로 전환할 경우 평균 25.36%포인트의 규제완화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진입규제 문턱이 낮아지면서 기존보다 신규업체는 1.2% 증가 효과가 있고 고용은 1.3% 늘어난다는 결론이다. 연구진은 각 시군구와 중앙정부부처 인허가 담당자 1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도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행 인허가 규제수준을 100으로 가정한 상태에서 인허가 제도를 ‘네거티브 방식’으로 전환할 경우 평균 10% 또는 25% 정도 규제가 완화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각 32.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 105명 전체의 규제 완화 평균 체감효과를 따져보면 약 25.36%의 규제완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산출됐다.
응답자들은 네거티브 방식 전환의 가장 큰 장점으로 ‘인허가 절차간편화로 인한 행정 부담감소와 효율화’(35.2%)를 꼽았다. ‘시민과 중소상공인에게 공정한 기회 부여’(23.8%)가 뒤를 이었다. 체계전환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과잉경쟁’이 55.2%로 가장 높았다. ‘서비스나 제품의 질 저하’를 지목한 비율도 44.8%나 됐다.
네거티브 방식 전환이 가장 선행돼야 하는 분야로는 ‘유치원, 초중고교, 대학 등의 교육시설’과 ‘어린이집 등 보육시설’이란 응답이 21.9%로 가장 높았다.
최
[정의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