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19곳이 채권은행 주도로 강도 높은 구조조정에 들어간다.
올 상반기에 선정된 35곳을 합하면 올해 구조조정 대상 기업은 총 54개로 2010년(65개) 이후 최대 규모다.
30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5년도 대기업 수시 신용위험평가 결과’에 따르면 총 19개 대기업이 구조조정 대상(C∼D등급)으로 선정됐다.
채권은행들은 지난달부터 금융권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인 대기업 중 잠재 부실위험 가능성이 있는 368곳을 대상으로 수시 신용위험평가를 벌였다.
통상 대기업 신용위험평가는 1년에 한 차례 실시하지만 올해는 한계기업을 신속히 구조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하반기에 수시 평가를 추가로 벌였다.
이번 평가에서 부실 징후는 있지만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있는 C등급은 11개사,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희박한 D등급은 8개사로 나타났다.
신용위험도는 A∼D의 네 개 등급으로 나뉜다. 이 가운데 C등급은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개선), D등급은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대상으로 분류된다.
지난 7월 발표한 상반기 대기업 신용위험평가에서 C등급 16곳, D등급 19곳을 선정한 데 이어 불과 6개월 만에 부실 징후가 있는 기업 19개사를 추가로 골라냈다.
양현근 금감원 부원장보는 “상반기 정기평가 때보다 선정 기준을 엄격하게 적용했다”며 “경제 여건이 어려워진 점과 그동안 구조조정 대상 선정을 미뤄온 기업이 있었던 점이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업종별로는 철강이 3곳으로 가장 많고, 조선·기계제조·음식료 부문이 2곳씩 포함됐다.
건설·전자·석유화학·자동차·골프장 업종에서는 각 1곳이 새롭게 구조조정 대상에 올랐다.
C등급 기업에 대해서는 채권금융기관 주도의 워크아웃을 통해 신속한 금융지원과 자구계획 이행을 추진하기로 했다.
D등급 기업은 추가적인 금융지원 없이 자체적인 정상화를 추진하도록 하거나 법정관리 신청을 유도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이날 구조조정 대상 기업 이름을 공개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워크아웃 돌입이 결정된 동아원[008040] 등 상장사 3곳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양 부원장보는 “C등급 기업 중 일부는 이번 결과 발표에 앞서 이미 워크아웃 절차를 밟고 있다”고 전했다.
이들 19개사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총 12조5000억원으로, 은행권 공여액(12조2500억원)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들 기업 구조조정 추진으로 은행권이 추가로 적립해야 할 대손충당금은 1조5000억원에 이른다.
특히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의 충당금 적립 부담이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금감원은 추산했다.
충당금 증가에 따른 은행권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총자본비율 하락폭은 0.1%포인트(13.99%→13.89%)로, 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금감원은 평가했다.
앞서 금감원은 이번에 C∼D등급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잠재적으로 구조조정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는 기업에 대한 관리도 강화하기로 했다.
우선 B등급을 유지한 23개사를 ‘자체 경영개선 프로그램’ 대상 기업으로 선정해 자구계획 이행실적을 점검해 나가기로 했다.
이들 기업은 애초 구조조정 대상에 포함하는 방안이 검토됐지만 증자·자본유치·계열사지원·인수합병·자산매각 등 자구계획을 이미 진행해 C∼D등급 평가를 면한 곳이다.
금감원은 주채무계열 소속 기업체 11곳에 대해서도 주채권은행이 맞춤형 대응계
이들 기업은 현재 정상으로 평가되지만 위기상황이 닥칠 경우 잠재적인 취약요인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은 곳이다.
금감원은 내년 1월 중 신용평가사·회계법인 등과 공동으로 이번 신용위험평가에 따른 사후관리의 적정성에 대한 현장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매경닷컴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