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억만장자 가운데 상속으로 부를 일군 사람이 74%로 세계 67개국 가운데 5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미국의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가 1996∼2015년 20년간의 포브스 억만장자 명단을 분석한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자산 10억 달러(약 1조2000억원) 이상 부자 가운데 상속자의 비율은 한국이 2014년 기준 74.1%였다. 4명 중 3명꼴이다. 세계 평균(30.4%)의 2배를 훌쩍 웃돌았다.
쿠웨이트·핀란드(각 100%), 덴마크(83.3%), 아랍에미리트(75%)에 이어 5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한국의 부자는 세계 억만장자의 1.6%를 차지했다. 반면 쿠웨이트 등은 이 비중이 0.3% 안팎 정도로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나라와 비교해 한국에서 상속부자가 대부분이고 창업 부자가 적은 것은 재벌 중심의 경제구조와 자본시장 미성숙, 안정적 직장을 선호하는 분위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주요 경제국 중에서는 중국의 상속 부자 비율이 2%로 가장 낮았으며 일본은 18.5%였다. 미국은 28.9%였으며 유럽(25개국)은 이보다 높은 35.8%였다.
지역별로는 동아시아가 17.1%로 가장 낮았으며 남아시아는 30.6%였다. 남미는 49.1%로 제일 높았으며 중동·북아프리카가 43.6%로 뒤를 이었다.
세계적으로는 신흥국과 선진국을 통틀어 자수성가 부자의 비중이 늘고 상속 부자가 줄어드는 추세라고 PIIE는 보고서에서 지적했다. 자수성가 부자는 1996년 44.7%였지만 2001년 IT 붐에 힘입어 58.1%로 역전했으며 2014년에는 69.6%를 차지했다.
2014년 기준으로 전세계 억만장자 가운데 미국의 비중이 30.2%로 가장 높았으며 유럽이 28.4%였다. 동아시아는 21.2%로 특히 중국이 9.2%를 차지했다. 일본의 비중은 1.6%로 한국과 같았다.
중국의 억만장자는 2005년 2명에서 2015년 213명으로 10년만에 100배 이상으로 불어났다. 반면 일본은 1996년 40명에서 2015년 24명으로 오히려 40% 감소했다.
한국의 억만장자는 1996년 7명에서 2005년 3명, 2010년 11명, 2015년 30명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PIIE는 억만장자의 숫자와 이들의 자산이 선진국보다 신흥국에서 빠르게 늘고 있다고 분석했
미국에서는 금융과 IT 산업의 부자들이 부를 빠르게 축적하고 있는 경향이 나타났다. 2014년 기준 미국의 억만장자 가운데 금융 부문 종사자는 27%로 유럽(10%)보다 훨씬 많다.
미국의 금융산업 안에서는 헤지펀드가 특히 막대한 부를 쌓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헤지펀드 억만장자의 80%가 미국인인 것으로 조사됐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