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근 KT 기가 IoT 사업단장은 29일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열린 소물인터넷 사업 추진 방향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단장은 “과거 롱텀에볼루션(LTE)와 와이브로가 경쟁을 벌였지만 지금은 누가 봐도 주류는 LTE”라며 “소물인터넷 표준으로 시그폭스, 로라와 같은 새로운 기술이 뜨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향후 누가 주류가 될지는 명약관화하다”고 말했다. 현 주류인 LTE의 연장선상에서 LTE-M이 소물인터넷에서도 주도권을 확보할 것임을 시사하는 발언이다.
KT와 SK텔레콤은 현재 소물인터넷 분야에서 각각 LTE-M과 로라 기술을 채택해 경쟁하고 있다. LTE-M은 기존 LTE 주파수와 네트워크를 활용하기 때문에 구축 비용이 저렴하지만 단말기, 칩 가격이 다소 비싸다. 반면 로라는 비면허 대역인 900㎒를 사용해 주파수 사용료를 낼 필요가 없고 애초부터 저전력, 저용량에 적합하게 설계해 칩과 단말이 저렴하지만 네트워크를 새로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 부담이다.
KT가 이번에 상용화한 LTE-M은 전송속도가 빠른 카테고리 1 방식으로 저전력, 저용량보다는 센서들이 보내는 데이터를 중간에서 모아 다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에 적합한 방식이다. KT는 여기에 파워 세이빙과 같은 저전력 기술을 자체 개발, 적용해 보완했다고 밝혔다. 또 로라와 저전력 부문에서 경쟁할 협대역(NB)-IoT 기술 부문
SK텔레콤도 로라 전국망 구축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ioT 통합관제센터, 전용 모듈 개발, IoT 활성화 지원 펀드 조성 등이 담긴 IoT 토탈 케어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디지털뉴스국 김용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