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퍼듀대, 국립보건원 산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공동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규명한 지카바이러스 입자의 3D 이미지 [사진 제공 = 사이언스] |
연구팀에 따르면 지카바이러스는 뎅기열바이러스, 웨스트나일바이러스 등 모기를 통해 전파되는 ‘플라비바이러스’ 속 다른 바이러스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세포 침투에 관여하는 단백질 구조에서는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의 이번 발견은 4월 1일자 사이언스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2013~2014년 프랑스령 폴리네시아군도에서 지카바이러스가 유행했을 당시 감염됐던 환자에게서 바이러스 검체를 확보한 후 극저온 전자현미경분석을 통해 입자의 3차원(3D) 이미지를 얻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러스감염제어연구센터 정대균 책임연구원은 “극저온 전자현미경분석법은 액화질소로 검체를 얼린 뒤 분석하는 방법”이라며 “분자들이 움직일 수 있기에 우선 극저온으로 얼려 고정한 뒤 촬영하는 방식으로 단백질 결정구조 연구에 사용된다”고 설명했다. 폴리네시아에서 유행한 지카바이러스를 분석했지만 현재 브라질에서 유행하는 지카바이러스에도 적용해 볼 수 있다. 둘 사이에 유전적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연구팀의 분석 결과 지카바이러스는 뎅기열바이러스, 웨스트나일바이러스 등 플라비바이러스 속과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다만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투하기 위한 표면 단백질은 바이러스가 어떤 종이냐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표면 단백질을 이루는 아미노산 사슬의 154번째 아미노산(아스파라긴) 근처에 ‘당’이 달라붙는데 이 아미노산 전후로 있는 아미노산 10개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정 책임연구원은 “바이러스들의 구조적 차이로 인해 뎅기바이러스, 지카바이러스 등 간에 임상적 증상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라며 “소두증의 경우 플라비바이러스 속 중 지카바이러스만의 특징으로 알려져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의 일원인 퍼듀대 마이클 로스만 교수는 “지카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질을 막을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면 지카바이러스가 사람 세포에 침투하지 못하게 막을 수 있을 것”이라며 “표면 단백질이 항바이러스제의 좋은 타깃”이라고 말했다.
정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성과를 통해 지카바이러스의 백신, 치료제 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며 “표면 단백질의 어떤 부위에 항체가 결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파악해 백신 등의 효능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이언스 논문에 앞서 공개된 ‘셀 스템셀’에는 지난달 30일 지카바이러스가 들어가는 ‘문’의 정체를 밝힌
[이영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